서울 도심에 마른 나무까지 갉아먹는 외래 흰개미가 나타났다는 신고가 접수돼 당국이 조사에 나섰다.
18일 환경부에 따르면 전날 서울 강남구 한 주택에서 흰개미가 나타났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현재 국립생물자원관과 국립생태원이 조사에 들어간 상태로, 결과는 19일 오후 나올 전망이다.
앞서 전날 한 온라인커뮤니티에 한 누리꾼이 집에 알 수 없는 곤충이 수십 마리 나타났다며 사진을 올렸다. 이를 본 누리꾼들은 국내엔 없는 '마른나무흰개미(건재흰개미)과'(Kalotermitidae)에 속하는 흰개미로 보인다고 추정했다.
흰개미 전문가인 박현철 부산대 교수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온라인커뮤니티에 올라온 사진만 보면 마른나무흰개미과에 속하는 흰개미로 보인다"라면서 "사실이라면 매우 심각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온라인커뮤니티 사진 속 흰개미가 마른나무흰개미과 흰개미가 맞는다면 국내에서 처음 발견되는 것이라고 박 교수는 덧붙였다.
마른나무흰개미과 흰개미는 총 489종이고 멸종된 종을 제외하면 457종 정도로 추산된다. 국내엔 '일본흰개미'(Reticulitermes speretus Kolbe)와 금강 주변에 서식하는 '칸몬흰개미'(Reticulitermes kanmonensis Takematsu) 등이 서식한다.
흰개미는 목재의 주성분인 셀룰로스를 섭취한다. 이를 위해 목재를 안쪽부터 갉아 먹어 '목조건축물 저승사자'라고까지 불린다. 미국에서 한해 흰개미로 인해 발생한 손실과 방제에 든 비용을 합하면 2010년 기준으로 400억달러(약 53조원)에 달한다는 연구도 있다.
흰개미로 인한 문화재 피해도 적잖다. 지난해 발표된 '국가지정 목조건축문화재의 흰개미 피해 현황 분석' 논문에 따르면 국가 지정 목조건축문화재 362건 중 317건(87.6%)에서 흰개미 탐지견 반응이 있었고 51.1%인 185건에서 육안으로 피해가 확인됐다.
박 교수는 "국내 흰개미는 습하고 그늘진 곳 나무에만 피해를 준다면 마른나무흰개미과 흰개미들은 모든 나무를 갉아 먹는다"라면서 "세계적으로 가장 골치 아픈 곤충으로 꼽힌다"라고 말했다.
특히 박 교수는 온라인커뮤니티에 올라온 흰개미에 날개가 달린 점을 우려했다.
짝짓기 비행을 위한 날개인데, 흰개미는 군집을 이룬 뒤 5~10년 정도 지나서 군집이 안정화돼야 짝짓기에 나선다는 것이다. 즉 마른나무흰개미과 흰개미가 국내에 들어온 지 한참이 지나 이미 널리 퍼져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박 교수는 "호주에선 마른나무흰개미과 흰개미들 때문에 집이 붕괴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한다"라면서 "국내에는 이 종을 방재할 전문가가 없는 점도 문제"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