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태풍 힌남노' 피해 입은 포항·경주 지방하천 복구사업 시작

포항·경주 14개 지방하천, 20개 지구 재해복구 착공 앞두고 대책회의…"신속 복구, 재발 예방"

경북도는 지난 19일 경주시청에서 지방하천 재해복구사업을 조속히 추진하고자 대책회의를 열었다. 담당 공무원과 시공사 등 공사관계자 50여 명이 참석했다. 경북도 제공
경북도는 지난 19일 경주시청에서 지방하천 재해복구사업을 조속히 추진하고자 대책회의를 열었다. 담당 공무원과 시공사 등 공사관계자 50여 명이 참석했다. 경북도 제공

태풍 '힌남노'가 휩쓸고 간 포항·경주 지방하천에 대해 경상북도가 재해복구 사업을 시작한다.

경북도는 지난 19일 경주시청에서 지방하천 재해복구사업을 조속히 추진하고자 대책회의를 열었다. 담당 공무원과 시공사 등 공사 관계자 50여 명이 참석했다.

지난해 9월 5~6일 제11호 태풍 '힌남노'가 상륙한 경북에서는 포항 오천읍 509.5㎜, 경주 토함산 369.5㎜(이상 누적강우량)의 기록적 폭우가 내렸다.

이에 수많은 사상자가 발생한 데다 주택 침수 4천919가구, 도로 5개 노선 피해액 93억원, 33개 지방하천 피해액 672억원(복구사업비 3천72억원)의 손실도 나오는 등 피해가 컸다.

회의는 더딜 수밖에 없는 재해복구사업을 실시함에 있어 피해 주민들이 최대한 변화를 체감할 수 있도록 공사를 일찍 마치고, 주민생활 안정과 재피해 예방 방안도 찾고자 마련했다.

회의에서는 ▷여름철 자연재난기간 전까지 하천 통수단면적을 확보하기 위한 사토 처리 ▷우기철 하천 재해에 미리 대응해 현장별 수방자재·장비 비치 ▷비상연락망 수립 등 다양한 실행 계획을 토론, 제안했다.

경북도는 지난 19일 경주시청에서 지방하천 재해복구사업을 조속히 추진하고자 대책회의를 열었다. 담당 공무원과 시공사 등 공사관계자 50여 명이 참석했다. 경북도 제공
경북도는 지난 19일 경주시청에서 지방하천 재해복구사업을 조속히 추진하고자 대책회의를 열었다. 담당 공무원과 시공사 등 공사관계자 50여 명이 참석했다. 경북도 제공

조만간 실시할 힌남노 지방하천 재해복구는 피해 시설의 원 기능을 되돌리는 '기능복원사업' 19개 하천(복구사업비 213억원), 문제 원인을 해소하거나 능력치를 향상하는 '개선복구사업' 등 14개 하천(복구사업비 2천859억원)에 대해 이뤄진다.

유실된 제방과 파손된 하천 구조물을 정비하고, 통수단면 부족 등 하천 범람을 유발하는 노후 교량을 재가설하는 등이다.

경북도는 지난해 12월 실시설계용역에 착수하면서 주민설명회를 열고 원활한 사업추진을 위한 의견 수렴 및 민원 최소화를 목표로 주민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했다.

아울러 소규모환경영향평가, 공법심의, 설계VE 등의 행정절차와 실시설계를 병행해 소요기간을 최소화했다. 그 결과 실시설계 착수 130여일 만에 공사를 발주했다.

박동엽 경북도 건설도시국장은 "하천 준설토 유출 등 우기 피해 재발을 미리 막고, 조속히 재해복구사업도 추진하는 두 마리 토끼를 놓치지 않겠다. 도민 생명과 재산 보호를 위해 재해복구사업을 신속히 마치겠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