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 이른바 '킬러 문항'(초고난도 문항) 출제를 배제하기로 한 배경에는 '약자인 아이들 갖고 장난치는 것'이라는 윤석열 대통령의 인식과 비판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윤 대통령은 공교육 교과과정 밖에서 복잡하게 출제되는 '킬러 문항'이 학생들을 사교육으로 내모는 '주범'이라 인식하고 있다는 게 대통령실과 정부의 설명이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윤 대통령이 최근 참모들에게 '킬러 문항'과 관련, "수십만 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부적절하고 불공정한 행태"라며 "약자인 우리 아이들을 가지고 장난치는 것"이라고 비판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도 이날 당정협의회 후 가진 질의응답에서 "공교육 과정에서 다루지 않는 문제를 수능에서 출제하는 것은 우리 교육의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라며 "아이들을 고통에서 벗어나게 하는 것이기 때문에 대통령이 말씀하신 것"이라고 했다.
'킬러 문항'에 대한 윤 대통령의 비판적인 인식은 지난주 이 부총리의 '교육 개혁 및 현안 추진 상황 관련' 브리핑을 통해 알려지게 됐지만, 그보다 앞서 이미 그러한 인식을 갖고 있었고 관련 지시도 했다는 게 대통령실과 정부의 얘기다.
윤 대통령은 지난 3월부터 '킬러 문항'을 배제하라고 여러 차례 지시했고, 오는 9월 모의고사와 수능에선 비문학 국어 문제와 교과 융합형 문제 등 복잡한 킬러 문항을 빼라고 거듭 당부하기도 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윤 대통령이 검찰 시절부터 수능 문제를 매년 검토해 교육 전문가 못지않은 지식을 갖고 있다는 여권 관계자들의 전언도 나온다.
윤 대통령은 "학생들을 사교육 시장으로 내모는 이권 카르텔은 교육 질서를 왜곡하고, 학생들이 같은 출발선에서 공정한 기회를 제공받는 것을 저해한다"고 우려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날 이규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원장이 윤 대통령의 '공교육 교과과정 밖 수능 출제 배제' 지시 나흘 만에 사의를 표했다.
이 원장은 이날 보도 자료를 통해 "지난 6월 모의평가와 관련해 기관장으로서 책임을 지고 사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주엔 교육부 대입 담당 국장이 6월 모의고사 난이도 조절 실패를 이유로 경질됐다. 윤 대통령의 '킬러 문항' 배제 지시에도 6월 모의고사에서 출제돼 논란이 빚어진 바 있다.
댓글 많은 뉴스
'험지 경북' 찾은 이재명 "제가 뭘 그리 잘못을…온갖 모함 당해"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홍준표 "탈당, 당이 나를 버렸기 때문에…잠시 미국 다녀오겠다"
국민의힘, 단일화 추진 기구 구성…"한덕수 측과 협상"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 선출 [전문]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