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이번 집중호우로 인한 사망·실종자가 지난 9일부터 16일 오전 11시까지 모두 43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사망자는 경북 17명, 충북 11명, 충남 4명, 세종 1명 등 모두 33명이고 실종자는 경북 9명, 부산 1명 등 모두 10명이다.
충북 청주시 오송읍 궁평지하차도에서는 미호강 제방이 터져 운행 중인 차량 15대가 물에 잠겼다. 16일 오전부터 수색이 이뤄지면서 오후 3시 기준 7명이 사망한 것으로 확인됐다. 급행버스를 포함한 차량 10여대가 여전히 물에 잠겨 있어 피해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대구에서는 1명의 실종자가 발생했다. 지난 15일 오후 4시쯤 북구 팔거천 강변에서 자전거를 타고 이동하던 60대 남성이 급류에 휩쓸려 실종돼 이틀째 수색 작업이 이어지고 있다. 대구소방안전본부는 태암교∼팔금교 4㎞가량의 구간에서 소방관, 경찰관, 군인 등 244명을 동원해 실종자를 수색하고 있다. 다만 소방당국은 폭우로 인한 사고가 아닌 안전사고로 분류하고 있다. 당시 강수가 많지 않았고 하천변도 통제된 상황이었다.
전국에서 호우 피해를 우려해 사전에 대피한 주민은 13개 시도, 90개 시군구에서 7천866명이다. 대피 주민은 경북 2천362명, 충북 2천321명, 충남 2천27명, 경남 203명 순이다. 대피 주민 가운데 6천182명이 집으로 돌아가지 못했다.
농작물 침수 규모도 1만5천120㏊로 급증했다. 축구장(0.714㏊) 2만1천개에 해당하는 규모다. 침수 피해 작물은 벼(9천410㏊)와 콩(4천661㏊)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139.2㏊ 규모의 농경지가 유실되거나 매몰됐다. 시설 피해는 273건 신고됐다.
공공시설 피해는 149건으로 68건이 충북에 집중됐다. 주택 33채가 침수되고 옹벽 파손 등 피해를 본 사유 시설만 60건이 넘는다. 경북 예천·문경, 충북 증평·괴산 등 644가구는 아직도 정전으로 인한 피해를 보고 있다. 호우로 통제된 도로는 216곳이고 국도 10곳도 통행이 제한됐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