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 위기경보가 1일 오후 6시를 기해 '심각'으로 상향됐다.
지난 7월 1일부터 유지돼 온 '경계' 단계에서 한달 만에 오른 것이다.
특히 폭염 위기경보가 심각 단계로 격상된 것은 지난 2019년 8월 이래 4년 만의 사례다.
이날 행정안전부는 폭염 상황이 심각해짐에 따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1단계를 가동하면서 폭염 위기경보 역시 이같이 높였다. 관심→주의→경계→심각 등 4단계 중 최고 단계다.
중대본은 관계 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에 ▷사회 취약계층, 공사장 야외근로자, 고령 농업인 등 폭염 3대 취약분야 관리대책 ▷농축수산업 피해 예방대책 ▷도로·철도 등 기반시설 관리대책 등 소관 분야별 폭염대책을 강화하라고 지시했다.
이날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올해 온열환자 응급실 감시체계가 가동된 지난 5월 20일부터 7월 31일까지 발생한 온열 질환이 원인인 것으로 추정되는 사망자 수는 누적 13명이다. 최소 15명이라는 집계도 전해진다.
지난해 여름 집계 총 9명을 이미 넘어섰다.
13명 사망 사례 가운데 65세 이상 노인이 10명을 차지했다.
아울러 지역별로 보면 13명 중 절반이 넘는 8명 사망 사례가 경북에서 발생했다.
대부분 폭염 속에서 농사일을 하던 60대부터 90대까지 고령층 주민들이었다.
경북은 지난 7월 장마 기간 폭우로 큰 인명 피해를 입은 데 이어 폭염이 시작되자마자 재차 인명 피해가 쏠리고 있다.
이 기간 온열질환자 수는 1천191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같은 기간을 따지면 2019년 613명, 2020년 387명, 2021년 973명, 2022년(지난해) 1천51명 대비 많은 수준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