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응급실 뺑뺑이' 없어질까…초응급 중증환자 정해진 병원으로 바로 간다

2일 대구시 '책임형 응급의료대책' 발표
구급상황관리센터 환자 이송 컨트롤타워 역할 맡게 돼
병원 간 원활한 전원 체계 구성에도 힘쓸 듯

2일 오전 10시 30분 대구시청 동인청사 2층 브리핑룸에서 류현욱 대구시응급의료지원단장이
2일 오전 10시 30분 대구시청 동인청사 2층 브리핑룸에서 류현욱 대구시응급의료지원단장이 '대구 책임형 응급의료대책'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박성현 기자

지난 3월 10대 응급환자가 구급차에 실려 병원 4곳을 전전하는 도중 사망한 사건을 막기 위해 대구시 재발 방지 대책을 내놨다. 대구소방안전본부는 구급상황관리센터를 확대해 환자 이송을 효율화하겠다고 밝혔다.

대구시는 2일 오전 10시 30분 동인청사 2층 브리핑룸에서 '대구 책임형 응급의료대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현장 이송단계부터 병원 단계, 전문분야 대응, 응급의료 기반 등 4개 영역별로 대응책을 마련한 것이다.

119구급대가 전화로 의료기관에 수용을 문의했던 현장 이송단계는 구급상황관리센터가 ▷초응급중증환자 ▷중증 응급환자 ▷ 경증환자 등 환자의 중증 정도에 따라 이송병원을 선정하는 방식으로 바뀐다.

초응급중중환자는 지난 7월부터 적용된 '대구 응급환자 이송·수용 지침'에 따라 구급상황관리센터가 선정하는 병원으로 즉시 이송하고 의료기관도 이를 수용하기로 했다. 중증 응급환자는 최대 2곳의 응급의료센터에 문의한 뒤 2곳 모두 곤란하다면 대구의 6개 응급의료센터로 환자의 증상을 동시에 전송하는 '다중이송전원협진망'을 가동한다.

6개 센터에서 응답이 없다면 구급상황관리센터가 직권으로 이송병원을 선정하고 병원은 의무적으로 환자를 수용해야 한다. 경증환자는 119구급대가 종합상황판을 확인한 뒤 응급의료기관급 병원에 전화 문의 없이 이송한다.

정남구 대구소방안전본부 본부장은 "지난 7월부터 구급상황관리센터를 통해 병원으로 이송되는 환자가 전체 4%에서 30%로 늘었다"며 "중증 응급환자도 다중이송전원협진망을 통해 모두 병원으로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다"고 말했다.

병원단계에서는 응급실과밀화를 해소하기 위해 오는 2026년까지 대구의료원을 지역응급의료기관에서 지역응급의료센터로 격상시킨다. 기관에서 센터로 격상되면 인력 및 운영 기준 등이 강화된다.

병원 간 전원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지역 응급의료 협력네트워크를 운영하고 병원장급으로 구성된 응급의료협의체를 통해 사례관리에도 나설 방침이다.

소아응급의료 대응력도 강화한다. 오는 2024년까지 대구의료원에 '달빛어린이병원'을 추가로 신설하고 응급실 소아전문의 인건비를 일부 지원하는 '24시간 소아응급진료 지원사업'을 마련하기로 했다.

대구시는 의료기관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응급의료 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이달부터 응급의료기관에 대한 자원조사를 시작할 계획이다.

류현욱 대구시응급의료지원단장은 "이번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지역의 6개 응급의료센터와 수 차례 협의를 거쳤고, 의료기관도 관련 지침을 준수하기로 했다"며 "응급상황에는 119구급대의 판단을 믿고 따라주시기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대구 책임형 응급환자 이송·수용 체계도. 대구시 제공
대구 책임형 응급환자 이송·수용 체계도. 대구시 제공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