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구급대·병원, 환자 중증도 분류체계 통일…하반기 중 도입

중앙응급의료정책추진단 제4차 회의…'셀프 트리아지 앱'으로 응급실 과밀화 해소

출동대기 중인 119 구급차.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계 없음. 매일신문DB
출동대기 중인 119 구급차.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계 없음. 매일신문DB

응급환자를 더욱 신속하고 정확하게 응급실로 이송할 수 있도록 119 구급대와 의료기관 간 환자 중증도 분류체계가 통일된다.

보건복지부는 4일 '중앙응급의료정책추진단 제4차 회의'를 열고 응급실 이송체계 개선과 과밀화 해소 등을 포함한 '응급실 미수용 개선 대책'을 논의했다.

우선 정부는 응급환자가 적정 의료기관으로 신속하게 이송되도록 119 구급대의 중증도 분류체계를 병원과 일치시키는 병원 전(前) 중증도 분류기준(Pre-KTAS)을 올해 하반기 중으로 도입한다.

현재 119 구급대는 4단계(사망 제외)의 중증도 분류체계를 사용하고 있는데, 병원의 5단계 한국형 응급환자 분류도구(KTAS)와 일치하지 않아 이송 과정에서 환자 상태를 둘러싼 혼선이 벌어지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KTAS와 호환되는 병원 전 중증도 분류기준(Pre-KTAS)를 도입, 통일된 분류 체계로 환자 이송의 정확도를 높일 계획이다.

정부는 오는 10월 일부 지역에서 먼저 새 분류체계를 도입한 후 전국으로 확대 시행하기로 했다.

앞서 대구시는 지난 2일 '대구 책임형 응급의료대책'을 발표하면서 병원 이송 전 환자를 ▷초응급 중증환자 ▷중증 응급환자 ▷경증 환자로 분류해 적절한 응급실로 신속하게 수용하겠다고 밝혔었다.

대구시응급의료지원단 관계자는 "대구에서 선제적으로 추진한 이번 '책임형 응급의료대책'은 복지부가 추진하는 병원 전 중증도 분류기준(Pre-KTAS)과 내용에서 약간 차이는 있다"며 "추후 복지부에서 구체적인 방안이 나오면 수정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경증환자로 응급실이 붐비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응급실 이용이 필요한지, 필요하다면 어떤 기관으로 가야 할지 환자 스스로 판단하도록 돕는 '셀프 트리아지'(Self-Triage·자가 중증도 분류) 애플리케이션도 개발한다.

박민수 복지부 제2차관은 "응급의료는 국민 생명과 직결된 대표적인 필수의료 분야인 만큼 응급환자가 적시에 적정 응급실을 찾지 못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