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상반기 중국을 제외한 전 세계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LG에너지솔루션이 1위 자리를 지켰다. 다만, 중국의 CATL이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앞세워 시장 점유율을 높이며 바짝 추격하는 모양새다.
7일 에너지 전문 시장조사업체인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6월 중국을 제외한 세계 각 국에 판매된 전기차에 탑재된 배터리 사용량은 143.1GWh(기가와트시)로 작년 동기 대비 5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사용량은 55.1% 증가한 41.1GWh로 가장 많았고 점유율은 28.7%로 소폭 하락했다.
이어 2위에 오른 중국의 CATL의 배터리 사용량은 38.9GWh로 작년 동기보다 107.1% 증가했다. 점유율은 작년 동기(20.5%)보다 6.7%포인트(p) 상승한 27.2%를 기록했다. LG에너지솔루션과 격차는 8.4%p에서 1.5%p로 줄었다.
일본의 파나소닉의 배터리 사용량은 동기 대비 40.1% 증가한 22.7GWh로 3위를 차지했다. 점유율은 15.8%로 집계됐다.
SK온과 삼성SDI는 나란히 4·5위를 지켰다. SK온의 배터리 사용량은 15.8GWh로 작년 동기보다 15.7% 늘었고, 삼성SDI는 12.5GWh로 작년 동기보다 28.8% 증가했다. 시장점유율은 SK온 11.1%, 삼성SDI 8.7%를 기록했다. 두 회사의 시장 점유율은 각각 3.8%p, 1.9%p 하락했다.
한국 배터리 3사의 점유율은 지난해 같은기간에 비해 5.9%p 내린 48.5%로 집계됐다. 국내 기업들은 글로벌 전기차 시장 성장과 더불어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다만 중국 업체들도 세자릿 수 이상의 폭발적인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CATL은 고객사인 테슬라·볼보 등의 판매 호조로 시장에서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으며,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인 BYD의 경우 가격 경쟁력을 바탕으로 유럽·아시아 시장에서 판매가 늘고 있다.
특히, 저가형 전기차 모델 출시가 본격화됨에 따라 중국 기업이 주력하는 LFP 배터리 비중이 늘어 시장판도에 변화가 감지된다고 SNE리서치 측은 분석했다.
SNE리서치 관계자는 "중국 업체들의 해외 진출로 고성장세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CATL의 점유율은 가파르게 상승해 LG에너지솔루션 자리를 위협하고 있다"면서 "최근 테슬라, 폭스바겐 등 글로벌 완성차 기업이 LFP 배터리를 채택하고 있어 그동안 LFP 사용량이 낮았던 유럽을 중심으로 변화가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