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KDI, 올해 성장률 전망 1.5% 유지… "세입여건 악화 등 위험 요인"

한국개발연구원 '수정 경제전망' 발표… "상저하고 전망 유효"

정규철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전망실장과 천소라 경제전망실 전망총괄(왼쪽)이 10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3년 8월 KDI 경제전망 수정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규철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전망실장과 천소라 경제전망실 전망총괄(왼쪽)이 10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3년 8월 KDI 경제전망 수정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책연구원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올해 우리 경제 성장률 전망치로 기존의 1.5%를 유지했다. 최근 국제유가 상승을 반영해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3.4%에서 3.5%로 상향 조정했다.

KDI는 10일 이러한 내용의 '수정 경제전망'을 발표했다. KDI는 올해 성장률을 1.5%로 전망했다. 지난 5월 상반기 경제전망에서 제시한 수치와 동일하다.

주요 기관과 비교하면 정부(1.4%), 한국은행(1.4%), 국제통화기금(IMF·1.4%) 등 보다는 높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1.5%) 등과는 같다.

KDI는 "올해 상반기 경제가 기존 전망에 부합했으며 하반기에도 기존 전망과 비슷한 성장세가 전망된다"고 밝혔다.

올해 상반기 성장률은 작년 동기 대비 기준 KDI의 상반기 전망과 같은 0.9%였다. 하반기에는 2.0% 성장할 것으로 예측해 '상저하고'(上低下高) 전망이 유효할 것으로 내다봤다.

부동산 시장 위축 등으로 중국의 경제활동 재개(리오프닝) 효과는 제한적이지만 최근 물가 상승세 둔화 등으로 미국 경제 하방 위험이 완화된 점을 반영했다.

부문별로 보면 민간 소비는 당초 예상보다 증가세가 둔화하지만 상품 수출과 건설투자 부진은 완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민간소비는 국외여행의 회복 속도가 완만한 수준에 그친 점을 반영해 2.5% 증가할 것으로 봤다. 기존 전망치보다 0.5%포인트(p) 낮은 수준이다.

상품 수출 증가율은 상반기 자동차 실적의 호조 등을 반영해 기존 전망(0.7%)을 웃도는 1.4%로 예상했다.

다만 총수출의 연간 증가율은 1.4%로 기존과 동일했다. 중국인 관광객 유입이 지연된 데 따라 서비스 수출 증가세가 기존 전망보다 낮아질 것이라는 점을 반영했다.

KDI는 내년 경제 성장률(2.3%)도 기존 전망치를 유지했다.

KDI는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3.4%에서 3.5%로 올려잡았다. 예상했던 것보다 전기요금 인상 폭이 작아졌지만 원유 등 원자재 가격이 상승한 데 따른 것이다.

아울러 KDI는 향후 위험 요인으로 중국의 경기 부진 심화, 전 세계 물가 상승세 확대에 따른 금리 인상 지속 등을 꼽았다.

중국의 부동산 시장이 급락하거나 경기 부양책의 효과가 제한돼 경기 침체가 발생한 점이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대내적으로는 세입 여건 악화가 위험 요인으로 꼽혔다. '세수 펑크'로 재정지출이 계획대로 이뤄지지 않을 경우 국내 수요가 제약될 수 있다는 게 KDI의 전망이다.

정규철 KDI 경제전망실장은 "전망의 위험 요인들이 불거진다면 올해 경제성장률이 1% 초반대까지 내려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