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포항 바닷물 방사능 접근 금지’ 해수 방사능 모니터링 실시

해수 전처리 시설 구축하고 21일 검사 시연회 가져
구룡포 앞바다 해수 직접 검사…지속적인 감시 체계 구축

김남일 포항시 부시장이 21일 포항 구룡포에서 채취한 바닷물의 방사능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검사 과정을 둘러보고 있다. 포항시 제공
김남일 포항시 부시장이 21일 포항 구룡포에서 채취한 바닷물의 방사능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검사 과정을 둘러보고 있다. 포항시 제공

앞으로 수산물을 넘어 포항 바닷물까지 방사능 검사가 시행된다.

포항시 수산물품질관리센터는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에 대비해 '해수 전처리 시설'을 구축하고 21일 시연회를 가졌다.

이날 사용된 해수는 포항시 남구 구룡포수협 위판자에서 사용되는 용수이다.

검사에는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등 전문 기관에서 사용 중인 AMP(Ammonium Phosphomolybdate) 공침법이 적용됐다.

AMP 공침법이란 해수 60ℓ와 화학물질의 일종인 AMP를 전처리 수조를 사용해 섞은 뒤 2단계의 여과·건조를 거쳐 분말 형태의 '세슘137'을 정제하는 방법이다.

분리된 분말을 고순도 게르마늄 감마핵종분석기로 8만초 동안 계측해 해수에 존재하는 방사능을 계산할 수 있다.

워낙 정밀한 검사가 진행되기에 측정 결과는 통상적으로 2~3일 정도 소요된다.

한편, 포항시 수산물품질관리센터는 지자체 최초로 수산물에 대한 자가 품질검사기관으로 지정받은 검사기관을 운영하고 있다. 이를 통해 올해 6월부터 수산물과 수산식품에 대한 방사능 검사를 월 40건 이상 시행 중이다.

수산물 방사능 검사 결과는 포항시 홈페이지에 매주 공개되며, 이번 해수 방사능 모니터링 결과 또한 비슷한 방법으로 일반 시민에게 공개될 계획이다.

김재선 포항시 수산물품질관리센터장은 "이번 해수 전처리 설비 구축을 통해 지역 내 위판장과 어촌계 등 수산물이 생산되는 해역에 대한 지속적인 방사능 모니터링을 수행할 계획"이라며 "이를 통해 수산물품질관리센터가 방사능 오염수 방류에 대비해 동해안 수산물의 안전성을 검증하는 주요 기관으로 발돋움할 것"이라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