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화보] 서울 슈퍼블루문 VS 제주 슈퍼블루문

8월 31일 한 달 중 두 번째로 뜬 보름달이면서 가장 큰 달인
8월 31일 한 달 중 두 번째로 뜬 보름달이면서 가장 큰 달인 '슈퍼 블루문'이 서울(왼쪽)과 제주(오른쪽)에 각각 뜬 모습. 연합뉴스
한 달 중 두 번째 뜬 보름달이면서 가장 큰 달인
한 달 중 두 번째 뜬 보름달이면서 가장 큰 달인 '슈퍼 블루문'이 31일 오후 서울 도심에 떠오르고 있다. 슈퍼문과 블루문이 동시에 뜨는 경우는 드문 현상이다. 가장 최근은 2018년 1월 31일이었고, 다음은 14년 후인 2037년 1월 31일이다. 연합뉴스
한 달 중 두 번째 뜬 보름달이면서 가장 큰 달인
한 달 중 두 번째 뜬 보름달이면서 가장 큰 달인 '슈퍼 블루문'이 31일 오후 서울 도심에 떠오르고 있다. 슈퍼문과 블루문이 동시에 뜨는 경우는 드문 현상이다. 가장 최근은 2018년 1월 31일이었고, 다음은 14년 후인 2037년 1월 31일이다. 연합뉴스
한 달 중 두 번째 뜬 보름달이면서 가장 큰 달인
한 달 중 두 번째 뜬 보름달이면서 가장 큰 달인 '슈퍼 블루문'이 31일 오후 서울 롯데월드타워 뒤로 떠오르고 있다. 슈퍼문과 블루문이 동시에 뜨는 경우는 드문 현상이다. 가장 최근은 2018년 1월 31일이었고, 다음은 14년 후인 2037년 1월 31일이다. 연합뉴스

놓치면 14년을 기다려야 하는 올해 가장 크고 밝은 달 '슈퍼 블루문'이 31일 떠올랐다.

이날 오후 7시 29분쯤 전국 곳곳에서 관측됐다.

한국천문연구원은 '슈퍼 블루문'을 두고 '슈퍼문'과 '블루문'의 합성어라고 소개했다.

슈퍼문은 달이 지구에 가장 가까운 지점인 근지점에 위치할 때 뜨는 보름달을 말한다.

또 블루문은 한 달에 두 번째 뜨는 보름달을 뜻하는데, 달은 약 29.53일을 주기로 위상이 변해 2년 8개월마다 보름달이 한 달에 한 번 더 뜨는 것이다.

이같은 슈퍼문과 블루문이 겹치는 경우는 드물다.

오늘 슈퍼 블루문을 보지 못하면 14년 후인 2037년 1월 31일까지 기다려야 한다.

31일 오후 제주시 동쪽 상공에 올해 가장 큰 보름달인
31일 오후 제주시 동쪽 상공에 올해 가장 큰 보름달인 '슈퍼 블루문'이 떠오르고 있다. 다음 슈퍼 블루문이 뜨는 날은 2037년 1월 31일이다. 연합뉴스
31일 오후 2023 서울라이트 행사가 열린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관람객들이 열린 2023 서울라이트 행사에서 관람객들이 한 달 중 두 번째 뜬 보름달이면서 가장 큰 달인
'슈퍼 블루문'이 뜬 31일 오후 서울 뚝섬한강공원에서 시민들이 달을 보고 있다. 슈퍼문과 블루문이 동시에 뜨는 경우는 드문 현상이다. 가장 최근은 2018년 1월 31일이었고, 다음은 14년 후인 2037년 1월 31일이다. 연합뉴스
31일 오후 광주 서구 쌍촌동 동쪽 하늘에
'슈퍼 블루문'이 뜬 31일 오후 서울 뚝섬한강공원에서 시민들이 달을 보고 있다. 슈퍼문과 블루문이 동시에 뜨는 경우는 드문 현상이다. 가장 최근은 2018년 1월 31일이었고, 다음은 14년 후인 2037년 1월 31일이다. 연합뉴스
31일 오후 광주 서구 쌍촌동 동쪽 하늘에
'슈퍼 블루문'이 뜬 31일 오후 경기 고양시 일산서구의 한 거리에서 시민들이 달을 감상하고 있다. 연합뉴스
31일 오후 광주 서구 쌍촌동 동쪽 하늘에
'슈퍼 블루문'이 뜬 31일 오후 경기 고양시 일산서구의 한 거리에서 어린이들이 달을 관찰하고 있다. 연합뉴스
31일 오후 2023 서울라이트 행사가 열린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관람객들이 열린 2023 서울라이트 행사에서 관람객들이 한 달 중 두 번째 뜬 보름달이면서 가장 큰 달인 '슈퍼 블루문'을 바라보고 있다. 연합뉴스
31일 오후 광주 서구 쌍촌동 동쪽 하늘에 '슈퍼 블루문'이 떠 있다. 슈퍼문은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가 가장 가까울 때 보이는 보름달을 뜻하고 블루문은 한 달에 두 번째 뜨는 보름달을 말한다. 슈퍼문과 블루문이 동시에 뜨는 경우는 드문 현상으로 다음 슈퍼블루문 관측 기회는 14년 후인 2037년 1월 31일이다. 연합뉴스
31일 오후 광주 서구 쌍촌동 동쪽 하늘에 '슈퍼 블루문'이 떠 있다. 슈퍼문은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가 가장 가까울 때 보이는 보름달을 뜻하고 블루문은 한 달에 두 번째 뜨는 보름달을 말한다. 슈퍼문과 블루문이 동시에 뜨는 경우는 드문 현상으로 다음 슈퍼블루문 관측 기회는 14년 후인 2037년 1월 31일이다. 연합뉴스
31일 오후 광주 서구 쌍촌동 동쪽 하늘에 '슈퍼 블루문'이 떠 있다. 슈퍼문은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가 가장 가까울 때 보이는 보름달을 뜻하고 블루문은 한 달에 두 번째 뜨는 보름달을 말한다. 슈퍼문과 블루문이 동시에 뜨는 경우는 드문 현상으로 다음 슈퍼블루문 관측 기회는 14년 후인 2037년 1월 31일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