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임을 앞둔 김명수 대법원장이 이른바 '거짓 해명 논란'과 관련해 퇴임 후 검찰이 수사할 가능성에 대해 "수사가 정당한 절차로 진행되면 당연히 성실히 임하겠다"고 말했다. 또 자신의 임기 내 사법부의 신뢰 회복이 부진했다는 평가에 대해 회복을 위한 근본 토양은 '재판'이 돼야 한다는 점을 거듭 강조했다.
김 대법원장은 오는 24일 퇴임을 앞두고 지난달 31일 서울 서초구 대법원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당시 제가 여러 불찰로 인해 많은 분께 심려를 끼쳐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렸다. 지금도 여전히 송구하다는 마음을 말씀드리고 싶다"고 했다. 재임 중 아쉬운 일로도 꼽으면서 "제가 말도 조심했어야 하고 몸가짐도 조심했어야 한다"고 웃으며 말하기도 했다.
김 대법원장은 지난 2020년 5월 22일 임성근 전 부장판사와의 면담에서 국회의 탄핵안 의결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사표 수리 요청을 반려한 사실이 알려져 논란에 휩싸인 바 있다. 김 대법원장은 이를 전면 부인했지만 임 전 부장판사 측이 당시 대화가 담긴 녹취록을 공개해 파문이 일었다. 이후 국민의힘이 2021년 2월 김 대법원장을 직권남용, 허위공문서작성 및 행사 등 혐의로 고발해 검찰이 수사 중이다.
김 대법원장은 임 부장판사가 연루된 '사법행정권 남용'(사법농단) 의혹과 관련해 2018년 검찰 수사에 협조한 것에 대해서는 그 무렵이 가장 힘든 시간이었고 그야말로 불면의 시간이었다. 추가 조사가 여러 번 있었고 결과에 수긍할 부분도 있었지만, 우리 자체에서 해결할 수 있는 문제인지 의문이 많았다. 그 시점에 다시 돌아가도 같은 결정을 했을 것이다"고 했다.
이어 "당시 사상 초유로 대법정이 점거되는 사태가 있었다. 법원의 엄중했던 상황을 생각한다면 저로서는 절박함을 느낄 수밖에 없었다"고 밝혔다.
퇴임 후 생활과 관련해서는 "40년간 법관이라는 일만 했고 곁눈질도 제대로 해본 적이 없어서 다른 분들은 뭐에 즐거움을 느끼고 행복해하는지 (잘 모르겠다). 정말 제가 무엇을 좋아하는지 찾고 싶다. 그러나 변호사를 할 생각은 없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