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中 화웨이 신제품에 SK하이닉스 반도체?...SK "거래한 적 없다. 경위 파악 중"

중국 화웨이는 신형 스마트폰
중국 화웨이는 신형 스마트폰 '메이트 60 프로'를 출시했다. 연합뉴스

SK하이닉스가 중국 화웨이 신형 휴대전화에 자사의 메모리 반도체가 사용됐는지 경위 파악에 나섰다.

7일 블룸버그 통신은 반도체 컨설팅업체 테크인사이트에 의뢰해 화웨이의 '메이트 60 프로'를 해체해 분석한 결과 부품 가운데 SK하이닉스의 스마트폰용 D램인 LPDDR5, 낸드플래시가 포함된 것으로 파악됐다고 보도했다.

화웨이의 신제품은 7nm(나노미터·10억분의 1m) 공정 프로세서를 적용해 개발한 스마트폰이다. 화웨이는 미국의 제재에도 불구하고 중국 기업이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했다는 점을 내세우고 있다.

블룸버그는 SK하이닉스가 화웨이 스마트폰에 부품을 공급한 유일한 글로벌 공급업체라고 했다는 테크인사이트의 의견을 전했다. 이후 "메이트 60 프로 부품은 대부분 중국 업체에서 공급받았으나, SK하이닉스의 칩은 해외에서 조달한 유일한 사례"라고 정정했다.

하지만 이에 대해 SK하이닉스는 화웨이와 거래한 사실이 없다고 입장을 밝혔다.

SK하이닉스는 "화웨이에 대한 미국 제재가 도입된 이후 화웨이와 더는 거래하지 않는다"면서 SK하이닉스는 미국 정부의 수출 규제 조치를 철저히 준수하고 있다. 해당 사안을 자세히 파악하기 위해 조사를 시작했다"고 선을 그었다.

이어 "화웨이 신제품에 자사 메모리 칩이 쓰였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미국 상무부 산업안보국에 신고했으며, 경위를 파악하기 위한 조사에 들어갔다"고 덧붙였다.

블룸버그 통신은 "화웨이가 하이닉스로부터 어떻게 메모리 반도체를 조달했는지 불분명하다"면서 "화웨이가 미국의 무역 제재가 전면적으로 부과되기 전인 2020년까지 축적한 부품의 재고를 활용하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게 한 가지 가능성"이라고 지적했다.

앞서 미국 정부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당시 중국 정부가 화웨이 통신장비에 해킹 도구를 설치했다는 이유로 제재를 시작했다. 미국은 화웨이와 계열사를 '블랙리스트'에 해당하는 상무부 거래제한 명단(entity list)에 올려 수출을 제한하고 있다.

미국 정부는 2020년 5월 미국 기술이 들어간 반도체를 화웨이에 수출하지 못하도록 하는 기업을 해외로 확대했다. 같은 해 8월에는 반도체의 우회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세계 20여 개국에 있는 화웨이 계열사도 블랙리스트에 등재했다.

한편, 화웨이는 이번 사안과 관련한 언론 질의에 별도의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