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 9일 열린 고연전(연고전)과정에서 해묵은 본교와 지방캠퍼스 분교 간 차별·혐오 문제가 다시 수면 위로 올라왔다.
지난 7일 대학생 커뮤니티 '에브리타임' 자유게시판에는 연세대 서울 신촌캠퍼스 재학생으로 추정되는 누리꾼이 '원세대 조려대'라는 제목의 글을 올려 "연고전 와서 사진 찍고 인스타 올리면 니가 정품 되는 거 같지?"라며 "니넨 그냥 짝퉁이야 저능아들"이라고 비난했다.
원세대와 조려대는 각각 강원도 원주에 있는 연세대 미래캠퍼스와 세종시 조치원읍에 있는 고려대 세종캠퍼스를 부르는 멸칭이다.
고려대 재학생과 졸업생이 이용하는 온라인 커뮤니티 '고파스'에서도 5일 '세종(세종캠퍼스 학생)은 왜 멸시받으면서 꾸역꾸역 기차나 버스 타고 서울 와서 고연전 참석하려는 거임?'이라는 글이 게시되기도 했다.
이에 분교 학생들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고려대 세종캠퍼스 총학생회는 지난 4일 대자보를 붙이고 지난 5월 고려대 응원제인 '입실렌티'를 준비하면서 서울캠퍼스 총학생회장이 세종캠퍼스 재학생을 '학우'가 아닌 '입장객'으로 표현했다고 주장했다.
세종캠퍼스 총학은 이 '입장객'이라는 표현을 두고 "세종캠퍼스 학생을 학우로 인정하지 않겠다는 뜻이 담긴 것"이라고 비판했다.
본교 학생들은 입학 성적이 차이나는 만큼 '명문대생', '명문대 출신'이라는 사회적 타이틀을 함께 누리는 것은 불공정하다는 입장이다.
연세대 신촌캠퍼스에 다니는 A씨는 "이름만 같고 아예 다른 학교인데 왜 본교의 이점을 취하려고 드는지 잘 모르겠다. 자신들의 수능 점수를 까먹은 것 같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임명호 단국대 심리학과 교수는 "기성세대가 생각했던 '공정'보다 2030세대 젊은 계층의 기준이 더욱 엄격해졌다"며 "자신은 1시간이라도 더 공부해서 입학했는데 왜 분교생이 동등한 권리를 가져가느냐고 의문을 품고 분노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설동훈 전북대 사회학과 교수는 "고등학교 때 성적만을 능력이라고 보고 서로를 구분 짓는 건 우려스러운 착각"이라며 "수년 전에 한 번의 시험으로 평가하는 대입 성적 대신 대학에서 기를 수 있는 개인의 다양한 능력을 보고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