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국학진흥원은 최근 경북의 종가(宗家) 3곳에서 3천여 점의 국학자료를 인수했다.
한국국학진흥원은 13일 영주의 선성김씨 백암 김륵 종가와 김륵의 차남인 번계 김지선 종가에서 2천여 점의 국학자료를 인수했고, 영덕의 재령이씨 존재 이휘일 종가에서 1천여 점의 국학자료를 인수했다고 밝혔다.
영주 이산면 석포리 '천운정'(天雲亭)은 백암(栢巖) 김륵(金玏·1540~1616)이 1588년(선조21)에 건립한 정자다. 그의 차남 번계(樊溪) 김지선(金止善·1573~1622)이 물려받아 지금에 이르고 있다.
이런 까닭에 천운정 종가라 부르기도 한다. 이번에 천운정 종가에서 기탁한 2천여 점의 국학자료에는 김륵 때의 자료를 비롯해 종가에서 오랫동안 보관해 온 고문서들이 대거 포함돼 있다.
전통이 깊은 종가인 만큼 자료들의 생산 연대가 16세기까지 올라가므로 현재 체계적인 관리 보존이 시급한 상황이었다.
백암 종가에서도 주요 자료 몇 점을 추가로 기탁했다. 여기에는 1788년(정조12)에 김륵에게 내린 시호교지가 포함돼 있다. 백암 종가는 지난 2004년에도 '백암선생문집' 책판 137점을 기탁하기도 했다.

영덕의 재령이씨 존재 종가도 '명서암'(冥棲庵) 현판을 비롯해 근대문서 등 1천여 점의 국학자료를 추가로 기탁했다.
명서암은 이휘일(李徽逸·1619~1672)이 독서와 강학을 하기 위해 지은 별당이다. 존재 종가는 2008년부터 세 차례에 걸쳐 1천여 점의 자료를 기탁한 바 있다.
이번에 인수한 자료 가운데 눈에 띄는 것은 천운정 종가의 '산장고적'(山藏古跡)이라는 제목의 필첩이다. 이 자료에는 금난수(琴蘭秀·1530~1604), 금응협(琴應夾·1526~1596), 조목(趙穆·1524~1606), 김부륜(金富倫·1531~1598) 등 김륵이 당시 교류했던 유명 인사들의 친필 시문이 수록돼 있어 종가 유물에 대한 보존과 전승의 역사를 짐작해 볼 수 있다.
이 밖에도 교지와 혼서지 등 몇 대에 걸친 인물들의 자료가 일괄로 남아 있어 자료적 가치가 높을 뿐 아니라 연구 활용의 측면에서도 의미가 크다.
정종섭 한국국학진흥원장은 "아직도 민간에서 보관하고 있는 자료들이 있다는 점에서 한국국학진흥원의 역할과 책임을 막중하게 생각한다"며 "또, 이번에 인수한 종가의 자료들처럼 보존과 전승의 역사가 오래된 자료들은 더더욱 체계적인 정리 보존 작업이 시급하므로, 현재 추진하고 있는 미래형 자료관리 시스템 구축에 박차를 가하겠다"라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