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전력 수요 가파른 증가세 올해 첫 100GW 돌파 2051년 2배↑

전력거래소 장기 전망 2039년 150GW, 2051년 202GW 예상
신재생에너지 전력 생산 증가 ESS 등 완충 장치 필요성 높아져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한국전력공사 경기지역본부 전력관리처 계통운영센터에서 관계자들이 전력수급상황을 주시하고 있다. 연합뉴스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한국전력공사 경기지역본부 전력관리처 계통운영센터에서 관계자들이 전력수급상황을 주시하고 있다. 연합뉴스

올해 처음으로 국내 전기수요가 100기가와트(GW)를 돌파한 가운데 향후 전기 사용량이 급증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2일 전력거래소의 장기 전망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총수요 기준 최대 전력은 오는 2039년 150GW를 거쳐 2051년에는 202GW가 될 것으로 예측된다. 태양광 발전, 한전 직접구매계약(PPA) 등 전력시장 밖 수요를 포함한 총수요 기준 최대 전력은 지난 8월7일 기준 100.8GW를 기록했다.

향후 올해 대비 전력수요는 16년 안에 50%, 2051년에는 2배로 늘어난다는 전망이다. 전력거래소는 "2036년까지 예측치는 현재 수립된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바탕으로 추산했고, 2037년부터는 2051년까지의 전망은 연평균 최대전력 수요 증가율이 유지된다는 가정 하에 이 같은 결과를 도출했다"고 설명했다.

1987년 당시 최대전력은 10GW에 불과했으나 2007년 7월 최대전력은 약 58GW로 늘었다. 다시 16년 만인 올해 또 2배 수준인 100GW로 증가했다.

전력 수요 급증은 산업구조 개편과 높은 연관성을 지닌다. 반도체 등 첨단 제조시설이 확충됐고 ICT(정보통신) 산업의 기반시설인 데이터센터에 대한 투자도 늘었다. 또 전기차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전기 수요 증가세가 더욱 가팔라질 것이란 예측이 우세하다. 현재 건립 추진 중인 용인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의 경우 10GW 이상의 전력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수도권 전체 전력 수요의 4분의 1에 해당한다.

최근 신재생에너지 비중이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대전력 총수요와 당국이 관리하는 시장 수요 간 격차가 빠르게 벌어지고 있다. 2015년 0.7GW에 불과했던 총수요와 시장 수요 간 차이는 올해들어 전기 수요가 가장 많았던 8월7일 7.2GW까지 벌어졌다. 태양광 등 신재생 발전으로 생산된 전기의 약 3분의 2는 전력시장 밖에서 소비되는 것으로 추산된다.

문제는 신재생 에너지 발전은 날씨 조건에 따라 전력 생산량 변동 폭이 크다는 점이다. 흐린 날씨에 태양광 출력이 줄어들 경우 대규모 전력을 보충하지 않으면 대규모 정전 사태가 발생할 위험도 있다. 에너지저장장치(ESS) 설비 확충을 통해 수급 조절을 해야 한다는 주장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우리나라의 전력 수요가 100GW 시대에 돌입했고 2050년 또 두 배로 늘어 200GW 시대가 도래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각각의 장단점을 가진 에너지원을 골고루 잘 활용하는 합리적 에너지 운용의 중요성이 커졌고, 전력 계통을 더욱 튼튼히 하는 대책 마련이 중요해졌다"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