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응급실 뺑뺑이' 대안 119구급스마트시스템 시범 운영… 의료기관 협조 절실

대구소방안전본부, 23일부터 '119구급스마트시스템' 시범 운영 중
구급대원 전화 없이 응급실 수용 여부 알 수 있어
관련 법 개정, 의료기관 호응이 관건

119구급대원들이 환자를 이송하는 모습. 대구소방안전본부 제공
119구급대원들이 환자를 이송하는 모습. 대구소방안전본부 제공

응급 환자가 병실을 찾다 사망하는 이른바 '응급실 뺑뺑이' 사건을 계기로 도입된 '119구급 스마트시스템'이 대구를 중심으로 시범 운영되자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고 있다. 소방청은 내년에 해당 시스템을 전국으로 확산시킬 방침이지만 관련 법 개정이 지연되고, 의료기관과의 협조가 더딜 경우 제대로 활용되지 못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6일 대구소방안전본부에 따르면 지난 23일부터 119구급 스마트시스템 시범사업이 대구에서 진행 중이다. 119구급 스마트시스템은 119구급대가 환자를 수용할 수 있는 응급실 상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119구급대가 다수 병원 응급실에 환자 정보를 제공하면 병원에서 실시간으로 응답한다.

지난해부터 이 사업을 추진한 소방청은 스마트 시스템이 정착되면 환자가 병원을 전전하는 '응급실 뺑뺑이' 사태가 없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대구소방안전본부 관계자는 "지역응급의료기관에서 적극적으로 경증 환자를 수용해 준다면 응급의료센터의 과밀화도 해소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시스템에는 환자가 이송된 병원을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는 기능도 도입된다. 119구급대가 이송한 환자의 '응급환자번호'(EPN)를 의료기관이 '국가응급의료진료망'(NEDIS)에 기재하면 추후 업데이트되는 환자의 정보를 소방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는 환자 이송 정보가 업데이트되는 데 한 달 이상 걸렸다.

다만 이 기능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법 개정이 우선돼야 한다. 환자의 개인정보를 소방청이 공유할 수 있는 근거 법안이 없기 때문이다. 강기윤 국민의힘 의원은 지난 8월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으나 소관 상임위 문턱을 넘지 못했다. 이와 별도로 소방청도 '119구조·구급에 관한 법률'개정을 추진하고 있다.

시스템 정착을 위해선 의료기관의 적극적인 호응도 필요하다. 시범 사업에 나선 대구소방안전본부는 대구시 응급의료위원회와 병원장급 지역응급의료협의체 등에서 설명회를 열고, 병원들을 직접 방문하는 등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

지역의 한 병원 관계자는 "병원의 응급실 사정도 바쁜데 구급대원이 보내는 환자 정보를 컴퓨터 앞에서 계속 보고 있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인력이 부족하다"며 "아직 시범으로 운영되는 만큼 추이를 조금 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병원 간의 전원 문제도 개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석주 부산대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응급실 뺑뺑이'의 이면에는 환자를 섣불리 받았다가 전문의 부재 등으로 수술을 못할 경우 다시 전원이 어려워지는 문제도 있다"고 지적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