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5대 은행 임직원의 1인당 평균 연봉이 1억원 선을 넘어서면서 하나은행, 인터넷전문은행까지 포함하면 카카오뱅크의 1인당 평균 연봉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1일 은행연합회가 공개한 '은행 경영현황 공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임직원 1인당 평균 소득은 1억1천6만원으로 집계됐다.
이 중 하나 은행이 1억1천485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KB국민은행(1억1천369만원), 신한은행(1억1천78만원), NH농협은행(1억622만원), 우리은행(1억476만원)이 뒤를 이었다.
인터넷은행 3사(카카오뱅크, 케이뱅크, 토스뱅크)까지 포함하면 카카오뱅크의 1인당 평균 소득이 1억3천579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뒤를 토스뱅크(1억1천604억원), 케이뱅크(8천945만원) 순이었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상여에 해당 연도 주식매수선택권(스톡옵션) 행사 이익이 포함돼있어 평균 소득이 높게 집계된 것"이라며 "스톡옵션행사이익은 스톡옵션을 행사할 때의 차익을 계산한 것으로, 실제 회사가 직원에게 금전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스톡옵션 행사 이익을 제외한 카카오뱅크 임직원의 1인당 근로소득은 1억305만원이다.
지방은행 중에서 임직원 1인당 연봉이 1억이 넘는 곳은 부산은행(1억1천225억원), 경남은행(1억851만원)이었다.
또 보고서에는 은행 임직원 희망 퇴직금 현황도 포함돼 있었다. 5대 은행 모두 지난해 희망퇴직 신청을 받아 5대 은행에서만 2천357명이 희망퇴직 했다. 5대 은행의 1인당 희망 퇴직금 지급액 평균은 3억5천548만원으로 집계됐다.
은행별로는 하나은행이 4억794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KB국민은행(3억7천600만원), 우리은행(3억7천236만원), 농협은행(3억2천712만원), 신한은행(2억9천396만원) 순으로 이어졌다. 다만 퇴직자의 기본퇴직금까지 합하면 희망퇴직자가 받은 퇴직금은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