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연말 대구시내버스요금 인상을 앞둔 가운데, 대중교통 공공성 강화를 주장하며 요금 인상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14일 녹색당 대구시당, 정의당 대구시당, 대구기후위기비상행동을 비롯한 16개 단체는시청 동인청사 앞에서 '대구시 대중교통요금 인상시도 규탄' 기자회견을 열고 요금 인상으로 시내버스 적자를 해소하려는 시도는 미봉책에 불과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공공재인 대중교통이 서민 가계 지출에 부담을 주고 있다는 점 ▷기후위기 시대에 무상교통 정책이 세계적인 대응책으로 꼽히고 있는 점 ▷막대한 세금을 투입하는 현행 버스준공영제에 대한 제고 등을 이유로 들어 대중교통 요금 인상 철회를 촉구했다.
이들은 버스 회사의 방만 운영에 대구시가 적극 개입해 근본적인 시스템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버스 요금 인상은 대기질 개선, 탄소 배출 줄이기 등 대구시의 환경 정책에도 역행하는 처사라고도 했다.
황정화 녹색당 대구시당 운영위원장은 "교통은 경제 뿐만 아니라 복지, 대기질, 탄소중립 등에서도 효과가 큰 부분인데, 재정 적자로 요금을 인상하겠다는 건 시정의 무능력함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시는 버스회사의 방만한 경영에는 아무런 개입도 하지 못하고 밑 빠진 독에 물 붓기 식의 재정지원만 하는 간접적인 방식을 일관해왔다"고 꼬집었다.
정유진 대구기후위기비상행동 집행위원은 "전 세계적으로 기후 위기 대응책으로 '무상 교통'을 말하는 시대에, 대구시는 오히려 대중교통 요금을 인상한다고 한다. 205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0으로 만들겠다는 게 대구시 목표인데, 이를 위해선 도로 위 내연자동차를 줄여야 하는 것이 명백한 과제"라고 말했다.
참석자들은 이어 "서민생계를 위협하는 대중교통 요금인상 철회하라", "공공성 강화, 기후위기 대응 대중교통 체계 마련하라" 등 구호를 외쳤다.
대구시는 지난 8~9월 시내버스 적정 요금 검토 용역을 거쳐 버스요금을 250월~350원 인상하는 안을 도출, 오는 16일 전문가와 시민이 참여하는 공청회를 거쳐 버스요금 인상안을 결정할 예정이다. 이후 교통개선위원회, 공공요금물가위원회 심의를 거쳐 오는 12월 말부터 인상된 버스요금을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댓글 많은 뉴스
경북대 '반한집회'에 뒷문 진입한 한동훈…"정치 참 어렵다"
한동훈, 조기대선 실시되면 "차기 대선은 보수가 가장 이기기 쉬운 선거될 것"
유승민 "박근혜와 오해 풀고싶어…'배신자 프레임' 동의 안 해"
"尹 만세"…유인물 뿌리고 분신한 尹 대통령 지지자, 숨져
野 의원들, '계란 투척' 봉변…경찰, 헌재 시위대 해산 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