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주 폐철도 활용방안, 주민이 결정하자”

경주폐철도 부지 조성 주민대책위 결성…16일 경주시청서 기자회견 가져

'주민이 직접 만드는 경주폐철도 부지 조성 주민대책위원회' 관계자들이 16일 경주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김도훈 기자

"경주지역 폐철도 부지 활용에 대한 결정권은 주민이 가져야 합니다."

황성~동천 철도폐선부지(4㏊) 인근 주민이 '주민이 직접 만드는 경주폐철도 부지 조성 주민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를 발족, 16일 경주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은 뜻을 밝혔다.

대책위는 "황성~동천 구간은 철도가 경주 도심을 관통하면서 기나긴 세월 동안 동네가 단절되는 피해를 겪었기에 폐철도 활용에 대한 주민의 기대가 높을 수밖에 없다"며 "하지만 경주시는 철도로 인해 가장 큰 피해와 고통을 인내했던 주민들의 요구와 의견을 매우 제한적이고 형식적으로 수렴해왔다"고 주장했다.

철길이 동네 한가운데를 관통했던 황성동을 예로 들면, 경주시는 황성동 주민 2만7천여명 중 50여명이 참가하는 간담회만 가졌고, 폐철도 활용에 대한 설문조사도 단순히 동의를 구하는 정도로 형식적이었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대책위는 "이런 식으로는 주민 불편을 해소할 수 없으며 공공의 이익에 맞게 실현되기 어렵다"며 "경주시는 주민들의 요구와 의사에 대해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향후 주민들이 결정한 사안에 대해 수용하라"고 촉구했다.

대책위는 이달 초부터 황성~동천 철도폐선부지 활용에 대한 주민 의사와 요구를 파악하는 대면 설문조사를 벌이고 있다. 이달 말까지 1천명 이상의 주민 의사를 수렴한 뒤 경주시에 전달하는 등 후속조치에 나설 계획이다.

한편, 정부는 2021년 12월 경주 도심을 관통하던 동해남부선·중앙선 철도 80.3㎞와 철도역 17곳을 국가 철도망 계획에 따라 폐선·폐역으로 지정했다. 이에 따라 경주시는 철도로 인해 단절된 구간의 주민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폐철도 정비사업을 벌이고 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