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의대 정원 증원 두고 정부·의료계 조용한 전쟁…집단행동 폭풍전야

공개적으로 사직서 올린 인턴 등장…복지부, 전공의·의대생에 단체행동 자제 촉구
의협은 17일 투쟁방안 결정…대구시의사회 "정부는 의협이 제안한 TV토론에 응하라"

박민수 보건복지부 2차관이 14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의사 집단행동 중앙사고수습본부 정례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박민수 보건복지부 2차관이 14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의사 집단행동 중앙사고수습본부 정례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의대 정원 확대 문제를 두고 정부와 의료계의 조용한 전쟁이 계속되고 있다. 의료계가 단체 행동 실행 여부를 두고 '신중모드'를 유지하는 가운데 정부는 지속적으로 단체 행동 자제를 촉구하는 상황이다.

◆ 박민수 복지부 차관 "단체 행동 자제 부탁"

14일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의사 집단행동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회의 후 열린 브리핑에서 "정부는 젊은 의사의 근무 여건을 반드시 개선하겠다"며 "전공의, 의대생 여러분들은 젊은 의사로서의 활력과 에너지를 학업과 수련, 의료 발전에 쏟아 주시기를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이는 전날 열린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의 온라인 임시대의원총회를 염두에 두고 집단 행동 자제를 우회적으로 요구한 것으로 풀이된다.

전날 열린 의대협 임시 대의원총회에서 참석자들은 1학기에 함께 휴학하자는 주장과 일정 기간 수업을 듣지 말자는 의견 등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복지부는 전공의, 의대생 등 젊은 의사들에게 대화의 장을 제안했다.

13일 대구의 한 대학병원에서 의사가 진료를 보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 안성완 기자 asw0727@imaeil.com
13일 대구의 한 대학병원에서 의사가 진료를 보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 안성완 기자 asw0727@imaeil.com

◆ 가시화되는 전공의 사직

수련의와 전공의의 개별 사직서 제출도 현실화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13일 '공공튜브_메디톡'이라는 유튜브 채널에 한 수련의가 올린 '결의'라는 제목의 영상이 화제가 됐다.

영상을 올린 이는 대전성모병원에서 수련의로 일하던 홍재우 씨로 "의사에 대한 시각이 적개심과 분노로 가득한 상황에서 더 이상 의업을 이어가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그런 생각에 잠시 내려놓으려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 일을 내려놓을 수밖에 없던 이유를 기득권 집단의 욕심과 밥그릇 지키기로만 치부하지 말아달라"고 말했다.

아직 대구 시내 수련병원 6곳(경북대병원, 영남대병원, 계명대 동산병원, 대구가톨릭대병원, 칠곡경북대병원, 대구파티마병원)에서 이번 의대 정원 확대를 계기로 사직서를 제출한 수련의나 전공의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그러나 이번 영상으로 수련의와 전공의들의 사직서 행렬이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는 가라앉지 않고 있다. 대구 시내 한 개원의는 "우려하던 일이 현실이 되는 것 같아 두렵다"며 "의대생 2천명 늘리려다 있던 전공의들까지 다 잃는 것 아닌가하는 걱정이 든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전공의들의 사직서 제출 움직임을 '집단행동'으로 간주할 수 있다는 원칙을 재확인했다.

박 차관은 "개별성을 띤다고 해도 사전에 동료들과 상의했다면 집단 사직서 제출로 볼 수 있다"며 "개별 병원에서는 사직서를 받을 때 상담을 통해 이유를 면밀히 따져보고 개별적인 사유가 아닌 경우 정부가 내린 집단 사직서 수리 금지 명령에 따라야 한다"고 했다.

대한의사협회(의협)가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방침에 반발하며 오는 15일 전국 곳곳에서 총궐기를 예고한 가운데 14일 오전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에 의과대학 정원 확대 반대 팻말이 놓여있다. 연합뉴스
대한의사협회(의협)가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방침에 반발하며 오는 15일 전국 곳곳에서 총궐기를 예고한 가운데 14일 오전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에 의과대학 정원 확대 반대 팻말이 놓여있다. 연합뉴스

◆ 의협 산하 단체들도 대정부 투쟁 준비

대한의사협회(의협)도 대정부 투쟁을 가시화했다. 현재 비상대책위원회 체제인 의협은 16일까지 비상대책위원 구성을 마무리짓고 17일 제1차 회의를 열어 의대 증원에 대한 향후 투쟁 방안과 일정 등을 논의하기로 했다.

대구경북의 의사회도 움직이기 시작했다. 대구시의사회는 14일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정부 정책에 대한 대응방안을 논의한다. 대구시의사회는 성명을 통해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는 원인을 잘못 파악해 오답을 정답이라고 외친 '의료파탄' 정책"이라며 "지금이라도 정책을 보류하고 의료계와 국민을 위한 정책이 무엇인지 논의하는 토론에 즉각 응하라"고 주장했다.

경북도의사회도 15일 대구 수성구 만촌동 경북도의사회관에서 정부 정책에 대한 규탄대회를 연다. 경북도의사회는 이날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정책에 대한 반대 의사를 명확히 밝히기 위해 의사 가운을 벗는 퍼포먼스도 진행할 예정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