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환자 수술 못받는데…'1년 이상' 장기전 전망까지 나온다

의대 정원 증원에 반대하는
의대 정원 증원에 반대하는 '경기도의사회 제15차 수요 반차 휴진 투쟁'이 진행되는 21일 오후 경기도 수원시 한 의원에 오후 휴진 안내문이 붙어 있다. 연합뉴스

의대 증원에 반발하는 전공의들의 집단사직으로 '의료 공백'이 본격화한 가운데, 이번 사태가 1년 이상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정부와 의료계의 시각차가 뚜렷한 상황에서 환자들이 겪을 고통만 커진다는 지적이다.

21일 의료계에 따르면 전날 대한전공의협의회의 한 간부는 임시 대의원총회를 통해 "이 사안이 1년 이상 갈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의대 증원을 찬성하는 측에서도 현 사태의 장기전을 예상했다. 김윤 서울대 의료관리학 교수는 전날 MBC '100분 토론'에 출연해 "의협은 2000년 이후 의사 파업으로 정부 정책을 매번 무산시켜 왔다. 이번 파업이 짧아도 2~3개월, 길면 반년 이상 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현 의료공백을 초래한 의사들에 대해 엄정 대응하겠다고 경고했다. 업무개시명령에도 의료현장에 복귀하지 않고 집단행동을 주도하는 주동자 및 배후 세력에 대해서는 구속수사를 원칙으로 한다는 게 정부의 입장이다.

전공의와 정부 모두 장기전을 염두에 둔 듯한 발언을 내놓으면서 환자들은 발을 동동 구르고 있다.

한국다발골수종환우회 등 6개 중증질환 환자단체는 "고래 싸움에 등 터지는 형국"이라며 "중증환자들의 생명을 담보로 강대강으로 대치하는 정부와 의사단체들은 이 사태를 멈추고 대화와 해결책을 강구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