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진해에서 열린 국내 최대 벚꽃축제 군항제에서 올해도 어김없이 먹거리 바가지 요금이 도마위에 올랐다. 이가 논란이 되자 창원시는 뒤늦게 긴급 전검에 나섰다.
27일 경남 MBC 보도에 따르면, 진해 군항제 먹거리 매대에서 꼬치어묵 6개를 1만원에 팔고 있었다. 그런데, 취재진이 어묵을 달라하자 2개의 꼬치어묵만이 그릇에 담겨 나왔다.
취재진이 상인에게 '이게 몇 꼬치냐'고 묻자, 상인은 "3개"라고 답했다. '6꼬치에 1만원 아닌가'라고 묻자 "저것(메뉴판)하고 다르다. 꼬치를 길게 해놓고 하나 끼워진 거 그게 아니고 우리는 비싼 어묵"이라고 답했다.
군항제 주최 측과 상인들이 합의한 어묵 값은 6개에 1만원이었지만, 제대로 지켜지지 않은 것이다. 심지어 일부 메뉴는 창원시가 정한 가격보다 비싸게 판매되고 있었다.
행정기관 단속도 미흡했다는 지적도 나왔다. 현장 점검에 나선 공무원들은 메뉴판을 확인했지만, 실제 기준에 맞게 음식이 나오는지 직접 확인하지 않았다.
이가 논란이 되자 창원시는 이튿날인 28일, 축제 현장을 주최자인 선양회와 함께 긴급 전검에 나섰다. 장금용 제1부시장은 "남은 군항제 기간 동안 바가지요금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선양회와 함께 지속적으로 점검을 실시할 계획"이라며 "방문객들이 걱정 없이 군항제를 즐길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진해군항제에서의 음식값 바가지 논란은 올해만 한정된 것이 아니다. 지난해에도 해당 축제를 다녀온 관람객들은 커뮤니티에 "음식 가격이 비싸다"고 글을 올린 바 있다. 당시에는 돼지고기 구이 한 접시에 5만 원, 해물파전 한 장에 2만 원, 꼬치어묵 1개에 3,000원 등으로 팔리고 있어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이에 축제를 주관하는 사단법인 이충무공선양군항제위원회는 당시 사과문을 내고 "단속반을 구성해 바가지요금을 철저히 단속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군항제위원회와 분양계약을 하지 않고 음식을 파는 업소 21개는 경찰에 고발했다.
한편, 국내 대표 벚꽃 축제인 진해군항제는 지난 23일부터 경남 창원시 진해구 여좌천 일대에서 열리고 있다. 지난해에는 450만 명이 다녀갔다. 다만, 올해는 꽃샘추위 증가와 일조시간 부족으로 개화 시기가 늦춰지면서, 창원시는 다음 달 1일까지 열릴 예정이었던 축제 기간을 연장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