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은 의과대학 입학정원 증원을 둘러싼 의료계와 정부의 날 선 대립과 관련해 "정부가 국민을 위한 의료 개혁을 반드시 완수할 수 있도록 국민 여러분의 성원과 지지를 간곡히 부탁드린다"며 "저와 정부는 더욱 자세를 낮추고 우리 사회의 약자와 국민 여러분의 목소리에 더욱 귀를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발표한 '의대 증원·의료 개혁, 국민께 드리는 말씀'을 통해 우리 사회의 해묵은 과제인 의료개혁을 국민과 미래만 보고 가는 방식으로 돌파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윤 대통령은 "제가 정치적 득실을 따질 줄 몰라서 개혁을 추진하는 게 아니다"며 "국민을 불안하고 불편하게 만드는 구조적 문제를 잘 알면서도 이해집단의 저항에 굴복한다면 정치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윤 대통령은 "저는 공직 생활을 할 때부터 대통령이 된 지금까지, 단 한 번도 쉬운 길을 가지 않았다"고 말하며 어떠한 어려움이 있더라도 끝까지 의료개혁을 관철하겠다는 뜻을 나타냈다.
정치적 불이익을 감수하더라도 문제 해결을 위한 개혁을 밀고 나가는 게 현 정부의 국정 기조였고 그것이 최근 정권에 닥친 위기를 해소할 정공법이라는 판단을 한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으로 윤 대통령은 화물연대 집단 운송 거부 대응, 건설 현장 '건폭' 개혁, 원전 생태계 복원 등 이익단체나 이해 관계자들의 강력한 반발에도 굴하지 않고 정면 돌파했던 주요 정책들을 일일이 거론하며 의료개혁도 멈추지 않겠다는 의지를 천명했다.
또한 윤 대통령은 이날 "의료계가 증원 규모를 줄여야 한다고 주장하려면, 집단행동이 아니라 확실한 과학적 근거를 갖고 통일된 안을 정부에 제시해야 마땅하다"며 "(정부 추진안보다) 더 할 수 있다. 정부의 정책은 늘 열려있는 법"이라고 타협의 여지를 남기기도 했다.
그러면서 국민·의료계·정부가 참여하는 사회적 협의체 구성도 제시했다. 결국 '통일된 안'을 내놓으려면 제대로 된 소통 창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정치권에선 윤 대통령이 강온양면 전략을 통해 사태해결의 실마리를 찾으려는 것이 아니냐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의료 차질 장기화로 국민 불안이 증폭하고 있는 데다, 4·10 총선이 임박하면서 '2천명 증원' 유연성을 보여야 한다는 여당 내 요구가 커지는 상황에서 의정 갈등으로 꽉 막힌 현 국면을 돌파할 필요성이 있어서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당면한 의료공백 사태에 대해 불편함을 호소하면서도 궁극적인 의료 개혁의 정당성에는 대다수 국민이 동의하는 상황을 반복하지 않기 위해서는 정권 차원의 결단이 필요했고 윤 대통령이 정치적 고려가 아닌 역사적 판단을 내린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에 정치권에선 이제 의료계가 윤 대통령의 결단에 답을 내놓을 때라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현직 대통령이 잔여임기의 국정운영 동력과 직결되는 총선을 코 앞에 두고도 정치적 고려 없는 민생안정책을 내놨기 때문이다.
댓글 많은 뉴스
구미 '탄반 집회' 뜨거운 열기…전한길 "민주당, 삼족 멸할 범죄 저질러"
尹 대통령 탄핵재판 핵심축 무너져…탄핵 각하 주장 설득력 얻어
계명대에서도 울려펴진 '탄핵 반대' 목소리…"국가 존립 위기 맞았다"
尹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 임박…여의도 가득 메운 '탄핵 반대' 목소리
이낙연 "'줄탄핵·줄기각' 이재명 책임…민주당 사과없이 뭉개는 것 문화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