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가 지역 내 '대형산불' 발생 예방을 위한 총력 대응에 돌입했다. 최근 10년 간 지역에선 피해 면적이 100ha가 넘는 대형산불이 총 8건 발생해 1만9천600여ha에 달하는 산림이 소실됐다.
경북도는 '산불 특별대책' 기간인 이달 말까지 각 시·군, 산림단체 회원 등과 합동으로 대형산불 사전 차단을 위해 전 행정력을 동원한다고 7일 밝혔다.
경북도에 따르면 최근 10년 간 지역에서 발생한 산불은 연평균 22.4건으로 91.19ha의 산림이 소실됐다.
주요 원인은 입산자(담뱃불·성묘객 실화 포함) 실화가 81건(37.2%)으로 가장 많고, 기타(원인불명) 등 57건(25.4%), 쓰레기 소각(53건, 23.7%) 등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는 매년 대형산불 발생도 잇따랐다.
지난해 4월에도 경북 영주시 평은면에서 불씨 취급 부주의로 인한 산불이 발생해 산림 244.5ha가 소실됐다. 봄철 야외활동이 잦은 4월에는 대형 산불 발생 위험이 높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경북도와 각 시·군은 산불방지 대책본부를 비상근무체계로 강화하고 있다. 또 산불 감시원 2천571명을 비롯해 감시 카메라 228대, 드론 80대, 감시탑 253개소 등을 활용해 산불 감시에 만전을 기한다. 도청 사무관 227명으로 구성된 산불계도 지역책임관과 도내 산림단체 회원으로 구성된 명예 산림감시단도 각지에서 산불 예방 활동을 하고 있다.
도와 각 시·군은 산불 주요 원인인 쓰레기 불법 소각 행위를 뿌리뽑고자 읍·면·동까지 이어지는 '소각 산불 방지 대응반'을 꾸리고 불법 소각 행위에 대한 밀착 단속을 강화한다.
산림과 산림으로부터 100m 이내 지역에서 고각을 할 경우엔, 무관용 원칙을 적용하는 한편 최대 50만원의 과태료도 부과된다.
산불 발생에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산불 전문예방진화대 1천77명을 비롯해 공무원진화대 2천313명, 산림청 산불재난특수진화대·공중진화대 76명, 가용가능 진화헬기 37개 등 만반을 준비태세도 갖췄다.
조현애 경북도 환경산림자원국장은 "'나 하나쯤이야, 괜찮겠지'하는 생각이 큰 산불의 원인이 될 수 있다"며 "산림 인접지에서 불법 소각 행위를 하지 않는 등 산불 예방에 도민 모두의 적극 동참을 당부드린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한 총리 탄핵 기각에 "국민이 납득할지 모르겠다"
전한길 "李대표 사법리스크 때문에 대한민국 법치·공정 무너져"
이재명, 유발 하라리에 'K엔비디아' 언급…"공산주의자라 공격 받아"
[속보] 헌재, 한덕수 총리 탄핵소추 '기각'…직무 복귀
한중외교장관 "문화교류 복원, 실질협력 계기 되도록 노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