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10명 중 4명가량이 하교 후 또래와 놀지 않는다고 답한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수업 후에도 학원, 학습지, 온라인 학습 등으로 바쁜 탓이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초등위원회는 어린이날을 앞두고 전국 초등학교 4~6학년 2천450명, 초등교사 761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23~30일 '2024년 어린이의 삶과 또래놀이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4일 결과를 공개했다.
어린이들에게 하교 후 또래와 노는 장소를 물었더니 '놀지 않는다'고 답한 학생이 38.3%로 나타났다.
도시 지역은 '동네 놀이터'(40.9%), 농어촌 지역은 '학교 운동장'(43.1%)이 주로 노는 장소로 꼽혔다.
방과 후 또래와 노는 빈도를 알아보니 '일주일에 1~2일 정도'가 32.1%로 가장 많았고 '거의 없다'도 27.9%에 달했다. 매일이라고 답한 어린이는 7.7%에 불과했다.
10명 중 6명의 어린이가 거의 놀지 않거나 1~2일만 놀고 있다는 것이다.
학교 수업 후 친구와 놀지 않는 이유로는 '학원·학습지·온라인 학습을 해야 해서'가 81.9%로 가장 높았다.
또 '학교 방과 후 수업을 가야 해서'(33.1%), '함께 놀 친구가 없어서'(9.5%) 등도 있었다.
매일 놀고 싶은 어린이는 12.0%였으며, 놀고 싶은 장소로는 키즈 카페 등 상업 시설이 42.0%로 1위였다.
아울러 어린이들이 학교에서 쉬는 시간을 보내는 장소는 교실이 90.4%로 가장 많았고, 복도(33.4%), 운동장·놀이터(23.8%) 순으로 나타났다.
어린이들은 놀이 후 대부분(94%) '즐겁고 재밌다'며 긍정적인 감정을 느끼고 있었다.
일부 학생들은 '친구와 마음이 잘 맞지 않아 힘들다'(4.2%), '혼자 있고 싶은데 귀찮다'(3.6%) 등 부정적 감정도 느낀다고도 했다.
아울러 쉬는 시간이 30분인 학교가 5~10분인 학교보다 교사와 학생의 만족도가 높았다.
'쉬는 시간이 충분한가'라는 질문에 쉬는 시간 30분인 학교의 학생과 교사는 각각 85.5%, 81.3%가 그렇다고 답해 쉬는 시간 5~10분인 학교의 응답률(학생 63.7%, 교사 44.0%)보다 월등히 높았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