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TK통합' 대구광역시, 한반도 제2도시로 도약"…통합론 급부상 배경은?

지방 인구소멸 대응은 물론 TK신공항·달빛철도 등 대형 현안 추진에 TK협력 필수
2019년 TK행정통합 논의 시작…코로나19·지선 거치며 민선 8기에선 논의 중단
4·10 총선 패배 이후 '영남 배제론'…22대 당선인들 앞에서 'TK통합' 첫 공식화도 의미

17일 대구 호텔수성 컨벤션홀에서 매일신문 주최로 열린
17일 대구 호텔수성 컨벤션홀에서 매일신문 주최로 열린 '제22대 국회의원 당선인과 함께하는 대구경북 발전결의회'에서 홍준표 대구시장(왼쪽)과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축사를 하고 있다. 정운철 기자 woon@imaeil.com

홍준표 대구시장이 대구경북(TK)을 통합해 '한반도 제2의 도시'로 새로운 도약의 기회를 만들자고 제안하면서 'TK 통합론'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홍 시장은 17일 매일신문사 주최 '제22대 국회의원 당선인과 함께하는 대구경북 발전결의회'에서 'TK 통합'을 처음으로 밝히고, 다음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서도 통합을 재차 강조했다.

홍 시장은 페이스북을 통해 "대구, 경북이 통합해 500만의 대구직할시가 되면 대구는 한반도 제2의 도시가 된다"면서 "이철우 경북도지사도 이에 적극 호응하고 있기 때문에 통합이 성사되면 2년 후 지방선거에서는 통합된 대구직할시장 1명만 선출하게 된다"고 밝혔다.

경기도 분도에 대해선 '시대에 역행하는 정책'이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홍 시장은 "경기도도 도(道)를 없애고 인근 자치단체끼리 통폐합해 2단계 행정체계를 만드는 게 맞지 않겠느냐"며 "그냥 불쑥 던진 화두가 아니고 오래 전부터 생각해 오던 행정체계 개편안"이라고 강조했다.

민선 8기 2주년을 앞두고 TK 통합이 급부상한 배경에는 극심해지는 수도권 집중 가속화 속에 인구감소에 따른 지방소멸에 대응하고자 하는 현실적인 문제는 물론 TK신공항, 달빛철도 건설과 같은 지역 초대형 프로젝트 추진에 있어 대구경북의 협력이 필수인 상황도 고려될 수밖에 없었을 것이라는 해석이 제기된다.

특히 이대로가면 모든 것을 빨아들이는 수도권 일극의 강한 흡입력에 밀려 대구경북이 더 쪼그라들 수밖에 없는 만큼 TK통합은 최대한 이른 시일내에 '규모의 경제'를 구현할 수 있는 인구 규모를 달성하자는 시도로 받아들여진다. 속도를 낸다면 TK가 서울 다음의 크기와 경제권을 갖는 '대한민국 제2의 대도시권'으로 올라설 수 있다는 것이다.

사실 대구경북은 여러 굴곡이 있었지만 최근 수년간 통합 준비를 치밀하게 해왔다. 통합 작업이 급물살을 탈 수 있는 충분한 여건이 갖춰져있다는 의미다.

대구시는 1981년 직할시 승격과 함께 경북도로부터 분리됐는데 2018년 대구시와 경북도는 시장·도지사 교환 근무 등을 골자로 하는 '대구경북한뿌리' 공동선언문 채택을 시작으로 2019년부터 경제통합을 넘어 행정통합에 대한 논의를 시작했다.

이후 시·도민 공론화를 위해 2020년 '대구경북행정통합공론화위원회'가 출범했으나 코로나19와 지방선거를 거치며 흐지부지됐고 행정통합 추진 동력이 꺾이면서 무산됐다. 민선 8기 들어서는 행정통합 논의 자체가 중단된 상태였다.

경북도 역시 대구시의 행보에 대해 적극 동조화에 나서 통합 실현 전망은 가능성을 넘어 확실시 쪽으로 기울고 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18일 페이스북을 통해 "대구경북은 2019년도 시·도 행정통합을 적극 추진하다가 2020년 4월 총선 이후 다시 논의키로 했으나 지방선거 등으로 진행하지 못했다"며 "며칠 전 홍준표 대구시장이 행정통합에 부정적 의사를 바꿔 적극 통합을 주장해 매우 다행스럽다"고 화답했다.

그러면서 "수도권 1극 체제로는 저출생 문제와 지방소멸 등 국가적 난제를 해결할 수 없기 때문에 시도 통합을 통한 지방 활성화가 절실하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지역 정치권에서는 최근 국민의힘의 4·10 총선 패배 후 여당 안팎에서 '영남 책임론', '영남 배제론' 등이 제기된 상황 속에 22대 국회의원 당선인들이 모인 자리에서 'TK 통합'이 처음 공식화된 것도 의미가 적잖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