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제2연평해전 참전 권기형 씨, 포탄에 다친 손으로 그리는 ‘럭키칠곡(숫자 7)’

해전 22주년 칠곡호국기념관 방문…“한반도 평화 기원합니다”
"더 이상 희생 발생하지 않길 바라"

제2연평해전 참전용사인 권기형씨가 지난 26일 칠곡호국평화기념관을 찾아 현역 때 입던 정복 차림으로 한반도의 평화를 기원하며
제2연평해전 참전용사인 권기형씨가 지난 26일 칠곡호국평화기념관을 찾아 현역 때 입던 정복 차림으로 한반도의 평화를 기원하며 '럭키칠곡 포즈'를 취했다. 칠곡군 제공

"북한군의 불법 도발로 제 손은 으스러졌지만, 영광의 상처를 간직한 왼손으로 한반도의 평화를 기원합니다."

경북 칠곡을 찾은 제2연평해전(2002년 6월 29일) 참전용사 권기형(43) 씨가 교전 당시 북한군 포탄에 관통당해 다친 왼손으로 '럭키칠곡(숫자 7) 포즈'를 만들었다.

그는 지난 26일 제2연평해전 22주년을 사흘 앞두고 칠곡호국평화기념관에서 현역 때 입던 정복을 입은 채 '럭키칠곡 포즈'를 취했다.

럭키칠곡 포즈는 왼손 엄지와 검지를 펴 검지가 아래쪽으로 향하게 하는 것으로, 6·25 최대 격전지였던 칠곡군의 첫 글자 '칠'과 발음이 같은 숫자 '7'을 그려 '평화를 가져다준 행운의 칠곡'을 뜻하는 것이다.

권 씨가 이 포즈를 취한 것은 한반도에 평화가 정착해 더 이상 자신처럼 안타까운 희생이 발생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에서다.

현재 칠곡 한 방산업체에 근무하는 권 씨는 제2연평해전 당시 북한 함정의 기관 포탄에 K-2 총열 덮개와 왼손 손가락이 통째로 날아갔지만, 개머리판을 겨드랑이에 지지한 채 남은 한 손으로 탄창 4개를 교환하면서 응사했다.

총탄으로 으스러진 손마디의 뼈는 엉덩뼈를 이식하고 손목의 살로 복원했지만, 손가락은 제대로 움직일 수 없다. 지금도 진통제가 없으면 통증으로 잠을 이루기 힘들다.

그는 이처럼 제대로 움직일 수도 없는 고통 가득한 왼손으로 어렵게 숫자 7 모양을 그려냈다.

권 씨는 "제2연평해전 기념일이 다가오면 왼손의 상처가 더욱 아려 온다"며 "앞으로 누군가의 손이 저처럼 고통받지 않도록 한반도의 평화가 정착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재욱 칠곡군수는 "권기형 씨의 상흔은 세월이 흐를수록 더욱 짙어지지만, 우리 기억 속 그의 상처는 점점 옅어지는 것 같아 안타까운 마음"이라며 "영광의 상처가 기억될 수 있도록 일상의 보훈 문화를 확립하고자 힘쓰겠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