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 의사 국가시험(국시)에 응시한 인원이 전체 대상의 11% 수준인 364명으로 집계돼 향후 의료현장 인력 수급에 비상이 걸렸다. 특히 의대 4학년생 경우 전체의 5%(159명)만 응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이같은 상황을 대응하기 위해 의료 현장의 혼란을 최소화하도록 의료개혁에 집중하겠다는 방침이다.
보건복지부가 지난 26일 의사 국가시험 실기시험 접수를 마감한 결과, 접수인원은 총 364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의사 국시에는 당해년도 졸업 예정자 3천여 명과 기존 졸업자 중 면허를 취득하지 못한 사람, 외국 대학 졸업자 등 200여 명 등 3천200여 명이 응시한다. 이를 고려하면 올해 지원자는 전체의 11%를 약간 넘는 수준이다.
특히 의대생 중에서는 전체 5%에 불과한 159명만 원서를 냈다.
의대생들 대다수가 국시를 거부하면서 내년도 국내 신규 의사 배출에 비상이 걸리게 됐다. 매년 3천여 명이 신규 의사가 나왔는데 내년엔 10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든다.
신규 의사 수 급감으로 의료 공백이 심화될 전망이다.
전공의(인턴·레지던트), 전문의 등 줄줄이 의료인력 배출에 차질이 생긴다. 군의관과 공중보건의 인력 수급도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의대생들의 이같은 움직임을 예상하고, 의대생, 전공의 관련 이슈에 일일이 대응하기보다는 앞으로 비상진료체계를 유지한다. 또 의료개혁특별위원회를 통한 의료 현실 개선에 역점을 둔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상급종합병원이 전공의보다 숙련된 의료인력을 중심으로 운영되도록 하는 방향으로 구조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이르면 9월부터 시범사업이 실시된다.
전공의 빈 자리를 전문의와 진료지원(PA) 간호사 등 숙련된 인력으로 채울 예정이다. 간호사법을 개정해 전공의 공백을 메워 온 PA 간호사 업무 범위를 법제화하고 현재 1만 여 명인 인력을 확대할 계획이다.
상급종합병원이 중증 진료에 집중할수록 더 많은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보상 체계를 개편하고 일반병실을 최대 15% 줄일 예정이다.
중·소형 병원 이용 환자가 병상 악화로 상급종합병원으로 이송 시 대기 없이 환자를 받을 수 있도록 협력체계도 강화할 계획이다.
댓글 많은 뉴스
한동훈 "조국 씨, 사면 아니라 사실상 탈옥, 무죄라면 재심 청구해야"
김여정 "리재명, 역사의 흐름 바꿀 위인 아냐" 발언에…대통령실 "진정성 왜곡 유감"
'조국 특사' 때문?…李대통령 지지율 51.1%, 취임 후 최저치
김건희 "내가 죽어야 남편 살길 열리지 않을까"
"횡령 의도 없다"…경찰, 문다혜 '바자회 모금 기부 의혹' 무혐의 처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