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르드 족의 5월 13일: 1985년, 이라크 할랍자에서 바트당 정권에 대한 시위가 시작되었다. 할랍자 주민들은 72시간 동안 바트당 정권을 도시 밖으로 몰아내는 데 성공했으나 그들의 목소리는 외부의 그 누구에게도 닿지 않았고, 결국 많은 이들이 쥐도 새도 모르게 살해되거나 심지어 산 채로 묻혔다. 지정학적 위치 때문인지, 저항의 대가인지, 할랍자는 이후 역사상 처음 화학무기 폭격에 희생된 도시가 되었다.
▶아프간에서의 후퇴: 수천 명의 젊은이들이 자원입대하여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에 있는 미군 기지 주방과 세탁실 등에서 복무한다. 그들이 벌어들인 자국 내 임금 최대 30배에 달하는 수입으로 고향의 가족들은 궁궐 같은 집과 수익성 있는 부동산에 투자했다. 하지만 2021년 여름, 아프가니스탄에서 미군이 마지막 병력을 철수하면서 대부분은 집으로 돌아왔다. 이 다큐멘터리는 전쟁, 경제, 그리고 부동산이 복잡하게 엉켜 있음을 포착한다. 또한 이주 노동자들이 치러야 할 대가와 수십 년에 걸친 전 세계 정치와 경제 위기의 손익을 폭로한다.
▶시네마클럽: 언제부턴가 내가 좋아하는 영화관에서 혼자 영화를 보는 날이 많아졌다. 영화관을 전세 낸 것만 같은 기분도 잠시, 금세 외로운 마음으로 상영관을 나오곤 했다. 나는 나와 같은 시간을 보내며 스크린 앞에 어깨를 맞대고 앉아있던 사람들을 만나고 싶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中 건보료 55억원 흑자? 6조원 받아갔다
대법원 휘저으며 '쇼츠' 찍어 후원계좌 홍보…이러려고 현장검증?
[단독] 카카오 거짓 논란... 이전 버전 복구 이미 됐다
[사설] 대구시 신청사 설계, 랜드마크 상징성 문제는 과제로 남아
박정훈 "최민희 딸 결혼식에 과방위 관련 기관·기업 '축의금' 액수 고민…통상 정치인은 화환·축의금 사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