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안동시, 흉물된 한센인 정착촌 계명마을 재정비 나선다

대규모 폐축사·빈집·창고 등 92개동 방치 주변 환경오염
1959년 형성된 정착촌, 지금은 한센인 후대 2명만 거주
안동시 '농촌공간정비'에 농림부 난색, 국민권익위 중재

마을이 형성된지 65년이 지나면서 모두가 떠나고 폐축사와 빈집 등만 남은 한센인 정착촌 계명마을이 농촌협약 사업으로 정비될 것으로 기대된다. 사진은 지난 17일 유철환 국민권익위원장이 계명마을을 찾아 현장을 살펴보고 있다. 엄재진 기자
마을이 형성된지 65년이 지나면서 모두가 떠나고 폐축사와 빈집 등만 남은 한센인 정착촌 계명마을이 농촌협약 사업으로 정비될 것으로 기대된다. 사진은 지난 17일 유철환 국민권익위원장이 계명마을을 찾아 현장을 살펴보고 있다. 엄재진 기자

모두가 떠나고 폐축사와 빈집, 창고 등 100여동의 흉물스런 건물만 덩그러니 남은 안동시 풍산읍 죽전리 한센인 정착촌 '계명마을'이 마을 형성 65년만에 정비된다.

농림축산식품부 '농촌협약' 공모사업에 선정된 안동시가 이 마을 공간정비에 나설 계획이었으나, 농촌지역 주민 생활 공간 정비를 통한 정주여건과 삶의 질 향상이라는 사업취지에 맞지 않다는 농림부와 엇갈린 입장을 국민권익위가 적극 중재에 나서기로 한 것.

국민권익위원회 유철환 위원장은 지난 17일 안동 한센인 요양시설인 '성좌원'과 '정착촌'을 방문해 2021년 12월 권고한 한센인 권익보호 및 정착촌 환경‧복지 개선대책 추진 현황을 살피고, 지난해 10월에 조정한 사항에 대해 점검하고 현장의 고충을 들었다.

국민권익위는 이날 현장방문과 의견청취를 통해 관계기관이 기존에 조정‧권고한 사항을 조속히 이행하도록 점검·독려하는 한편, 이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어려움에 대해 세부적인 실태조사와 관계기관 협의 등을 통해 해소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계명마을을 찾은 유철환 위원장은 "공간 재정비 사업에 이 마을의 역사를 보존할 수 있는 작은 기념관을 마련해 줄 것"을 함께한 권기창 안동시장에게 당부하기도 했다.

한편, 1959년에 형성된 '안동 계명마을'은 지난해 70주년이 된 한센인 요양시설인 '안동성좌원'과 함께 한때는 100여명이 정착해 소와 돼지를 키우면서 생업에 나섰던 대표적 한센인 정착촌이었다.

하지만, 몇해전 마지막 남은 한센인 2명 중 1명이 세상을 떠나고, 또 다른 1명이 성좌원으로 입소하면서 이 마을에는 한센인이 아닌 2명이 가축을 키우며 살고 있다.

사람들이 떠난 이 마을은 인접해 있는 오동정, 대밭골 마을의 진입로에 위치해 있으면서 폐축사와 빈집, 창고 등 92개 동이 방치된 상태로 있어 경관 훼손과 주민 건강을 위협, 공간 재정비가 시급해지고 있다.

특히, 지난 2021년 국민권익위원회는 전국 한센인 정착촌 82개소에 대한 실태조사를 거쳐 지자체와 보건복지부, 농림축산식품부 등 9개 중앙부처를 대상으로 한센인 권익보호 및 정착촌 환경‧복지 개선대책을 마련해 권고했었다.

이에따라 안동시는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추진하는 '농촌협약' 공모에 최종 선정돼 오는 2029년까지 풍산읍과 풍천면·임하면·길안면을 대상으로 총사업비 467억 원(국비 300억)을 들여 사업에 나설 계획이다.

풍산읍 죽전리 계명마을은 어지럽게 산재해 있던 축사 등을 비롯해 농촌 공간을 정비해 농촌다움으로 복원하는 '농촌공간정비사업'을 통해 인근 주민들의 정주 여건과 생활환경 개선에 나선다는 것.

권기창 안동시장은 "오랜 기간 방치된 폐 시설물을 정비해 인근 마을을 비롯해 농촌지역 생활환경 개선에 나설 계획"이라며 "농촌지역이 삶터‧일터‧쉼터로서의 기능을 회복해 나가도록 노력할 것"이라 말했다.

마을이 형성된지 65년이 지나면서 모두가 떠나고 폐축사와 빈집 등만 남은 한센인 정착촌 계명마을이 농촌협약 사업으로 정비될 것으로 기대된다, 엄재진 기자
마을이 형성된지 65년이 지나면서 모두가 떠나고 폐축사와 빈집 등만 남은 한센인 정착촌 계명마을이 농촌협약 사업으로 정비될 것으로 기대된다, 엄재진 기자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