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국무총리는 22일 이중근 신임 대한노인회장이 전날 노인연령을 현행 65세에서 75세로 상향하자고 정부에 공식 제안한 것과 관련해 "신중하고 중요한 아이템으로 보고 검토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 총리는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출입기자단 백브리핑에서 "이런 문제를 당사자인 노인회가 제기한 것은 굉장히 잘 검토해야 할 필요가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한 총리는 "전문가들은 노인·여성 인력을 어떻게 활용하는지가 성장 잠재력을 높이는데 굉장히 중요한 요인이라고 조언한다"며 "일을 좀 더 할 수 있는 시스템을 비롯해 경제활동에 종사하는 인구가 줄어드는 상황에서 어떻게 할 수 있을지, 정년을 넘어 일하는 분에 대해 어떤 제도를 갖추는 것이 좋을지 논의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행정안전부 소속 공무직 정년이 65세로 연장돼 이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확산될 조짐이 보이는 것과 관련해서도 "사회적인 합의를 빨리 이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 총리는 "앞으로 2040년~2050년이 됐을 때 어르신들과 젊은이들 간 비율 같은 것들을 고려하면 경제·사회·안보 분야까지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며 "이를 심각하게 받아들여 사회적 컨센선스(합의)를 얻고 재정·안보· 예산·잠재성장률과 인구소멸 등으로 발생할 심각한 문제를 미리 대응해야 한다"고 했다.
북한이 우크라이나 전쟁에 파병을 한 것과 관련해선 "북한이 그동안 무기를 지원한 것뿐만 아니라 전투 인력을 파병한 것은 국제사회에서 심각한 문제"라며 "자유민주주의 체제를 유지하고 있는 대부분 국가들이 우크라이나에 대한 러시아 침략을 두 번 다시 일어나지 않아야 하는 일로 여겨 이 문제를 어떻게 다뤄야 할지 논의 중"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런 사안은 국제사회와 같이 협의하면서 우리도 필요한 일을 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며 "이런 점을 고려해 마르크 뤼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사무총장과 윤석열 대통령이 통화를 한 것으로 알고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기는 어렵지만 북한군 파병이 확인된다는 것이 우리 정보당국 입장이고, 국제사회 충격은 굉장히 클 것"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