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 세대(19세~34세) 청년 10명 중 9명은 직업 선택에 있어서 기업 규모보다는 임금과 복지수준을 더욱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5일 고용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은 '2024년 상반기 청년층 대상 채용동향조사' 결과, 응답자 대다수(87.0%)가 '임금·복지가 좋다면 기업 규모는 관계없다'고 대답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어 63%는 임금·복지보다 워라밸이 중요하며, 59.1%는 직장 선택 시 임금을 고용 형태보다 우선 고려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희망 임금수준은 '300만∼350만원'(25.9%)이 가장 많았다. 이 중 76.3%는 '300만원 이상'을 원했다. 적정 근무 시간은 '40~45시간 미만'(50%) 비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필수적 복지제도 질문에 '특별휴가'(38.5%, 복수응답), '유연근무'(35.4%), '재택근무'(31.1%)가 병원비·경조사비·대출지원 등 '금전적 지원'보다 높게 나타났다.
직무 수행에 있어서 무엇을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지 질문에는 '적성 및 흥미'(67.7%)가 '교육 수준'(54.5%)이나 '기술 수준'(59.4%)보다 높게 나타났다. 직무 전환 고려 여부 질문에 48.4%는 '직무 전환을 고려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7월 12~31일 전국 17개 시도 청년(19세~34세) 4001명 등을 대상으로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