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관세 협상의 막이 올랐다.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이 24일 '한미 2+2 통상 협의'에 나선다. 협상 속도를 내려는 미국의 압박을 어떻게 방어할지 관심이 쏠린다. 다만 협상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한다고 해도 미중 무역분쟁이 타협점을 찾지 못할 경우 한국 경제도 치명적인 타격을 입을 전망이다.
한미 통상 협의에는 한국에서 최 부총리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미국에서는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과 통상협상 책임자인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각각 참석할 예정이다.
22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 도착한 최 부총리는 한미 통상 협의에 임하는 각오를 묻는 질문에 "최선을 다하겠다. 그(협의) 결과는 목요일(24일)에 말씀드리겠다"고 답했다.
또 "일단은 미국 측 관심 사항을 경청하고, 우리 입장도 적극적으로 설명할 예정이다. 그러면 서로에게 도움이 되고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으니 그렇게 노력하려 한다"고 밝혔다.
한편, 미국과 중국이 서로 100% 넘는 관세를 부과하면 올해 한국 성장률이 약 0.5%포인트(p) 하락할 수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글로벌 투자은행(IB) 씨티그룹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한미 통상 협상의 경제적 영향' 보고서를 발간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법원 휘저으며 '쇼츠' 찍어 후원계좌 홍보…이러려고 현장검증?
[단독] 카카오 거짓 논란... 이전 버전 복구 이미 됐다
장동혁 "어제 尹면회, 성경과 기도로 무장…우리도 뭉쳐 싸우자"
[사설] 대구시 신청사 설계, 랜드마크 상징성 문제는 과제로 남아
박정훈 "최민희 딸 결혼식에 과방위 관련 기관·기업 '축의금' 액수 고민…통상 정치인은 화환·축의금 사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