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미국이 지난달 워싱턴 2+2 협의 이후 약 3주 만에 고위급 양자 회담을 갖는다. 미국이 중국을 비롯한 각국과 협상에 결과를 내고 있어, 양국이 이번 협의를 통해 구체적인 성과를 도출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16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이날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제주국제컨벤션센터(ICC)에서 양자 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그리어 대표는 제주 APEC 통상장관회의 참석차 지난 14일 방한했다. 한미 통상 당국은 그리어 대표 방한을 계기로 사흘간 릴레이 통상 협의를 이어가고 있다.
그리어 대표는 전날 정인교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과 만나 양국 간 통상 현안에 대해 논의했다.
양국은 지난달 '2+2' 협의 이후 관세·비관세, 경제 안보, 투자 협력, 통화정책 등 분야에서 의제를 좁혀가며 실무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한국은 미국에 조선 등 산업 협력 방안을 제시하며, 이를 지렛대로 미국이 한국산 제품에 부과한 상호 관세(25%) 면제, 예외를 주장하고 있다.
아울러 대미 수출 주력 품목인 자동차, 철강, 반도체 등에 대한 품목 관세 면제를 위한 협상 전략을 짜고 있다.
미국이 최근 경쟁국인 중국과 관세 인하 협상을 타결하는 등 각국과 관세 협상에 속도를 내고 있어, 이번 양자 회담에서도 성과물이 나올 수 있을지 주목된다.
다만 한국은 6월 대통령 선거를 앞둬 정부 교체기에 해당해 회담에서 뚜렷한 성과물을 내기 어렵다는 관측도 나온다.
한국 통상 당국은 그리어 대표 방한을 계기로 통상 협의를 위한 의제를 보다 구체화하고, 추후 상호 관세와 품목 관세 면제, 조선업 협력 등에 대한 구체적인 틀을 만드는 데 집중하는 전략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당선 뒤 유죄면 직무정지? 헌법학자 10인 대답은
TK지지율 김문수 53.1% 이재명 30.9% 이준석 7.0%
홍준표 "30년 전 노무현 따라 꼬마 민주당 갔다면"…작심 토로
김문수 "尹계엄권 발동 부적절…진심으로 사과"
"이준석 싫어요" 67%…비호감 대선후보 1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