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달부터 '제로에너지건축물(ZEB)' 제도가 의무화함에 따라, 주요 건설사들이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활용은 물론, 건물 내 에너지 외부 유출을 막기 위한 기술력을 개발하는 등 온실가스 배출 최소화에 힘쓰고 있다.
18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준공된 건물 운영 단계에서 배출되는 탄소는 건설산업 전 생애주기 탄소배출량의 65%에 이른다.
이같은 상황을 고려해 정부는 2050 탄소중립 목표를 세우고 ZEB 인증 제도를 도입했다.
건축물에 필요한 에너지 사용은 최소화하면서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해 건축물 에너지 자립률을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다. 이미 공공주택에 대한 ZEB 5등급(에너지 자립률 20~40%) 인증은 이미 의무화한 상태다.
정부는 1천㎡ 이상 민간 건축물과 30가구 이상 민간 공동주택에도 ZEB 제도를 의무화하기로 하고, 다음 달 시행을 목표로 규제 심사를 벌이고 있다.
주요 건설업체들도 건축물에 적용 가능한 탄소배출 저감 기술을 다각도로 검토하고 있다.
건축물에 적용하는 제로에너지 기술은 ▷고성능 단열재와 창호 등으로 건물 내 에너지의 외부 유출을 최소화하는 '패시브'(passive) 기술 ▷고효율 조명과 냉난방공조(HVAC) 시스템 등으로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액티브'(active) 기술 ▷ 태양광이나 지열 등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자체 에너지 생산 등으로 구분한다.
GS건설은 ZEB 시대 대응을 위해 최근 에너지 절약형 조명을 공개했다.
초고효율 발광다이오드(LED)와 사물인터넷(IoT) 기반 스마트 제어 기능을 갖춘 이 조명은 전작 대비 에너지 소모를 30∼50%가량 줄였다 .
GS건설 관계자는 "고성능 단열재와 창호, 향상된 기밀성능, 고효율 LED, 신재생에너지 관련 시스템 등 에너지 자립률을 높일 기술을 다방면으로 개발 중"이라며 "ZEB 5등급에 해당하는 탄소배출 저감 기술을 이미 개발한 상태이며 4등급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도 개발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2019년 현대건설이 준공한 인천 송도 '힐스테이트 레이크 송도'는 국내 최초로 고층형 ZEB를 인정받았다. 이곳은 다양한 제로에너지 기술을 적용해 에너지 자립률 23.37%를 달성했다. 이 단지의 전기 소비량은 인천 공동주택 평균 대비 51%, 난방에너지는 43% 절감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DL이앤씨는 기술 개발 거점인 대전 건축환경 연구센터에서 신재생에너지 활용, 단열, 냉난방공조 등 에너지 자립도와 효율을 높일 각종 기술을 연구개발하고 있다.
이미 정부 주도 공공개발에서 주요 건설 기업들이 ZEB 5등급 인증을 받은 바 있어, 민간 아파트 적용 시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보인다.
분양가 상승 우려에도 불구하고 소비자 입장 ZEB 적용이 나쁘지 않다는 시각도 있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초기 투자비용이 높아 분양가가 오를 가능성은 있지만 신재생에너지 발전 설비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손익분기점을 넘어 건물 유지비를 실제로 아끼는 효과가 발생할 것인 만큼 소비자에게는 유리할 수 있다"며 "실제 ZEB 인증 단지 입주자들의 만족도는 높은 편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이혼 접수 3개월 전 부동산 판 김상욱 의원…재산 분할 덜 해주려고?
홍준표 "대선 끝날 때까지 정치포스팅 중단…당에서 밀려난 처지"
TK서 김문수 지지율 '50%선' 붕괴…국힘, 지역에 의원들 급파
'국힘 탈당' 김상욱, 이재명에 안겼다…"대통령 되는데 최선 다하겠다"
'尹 탈당'…국힘 '원팀' 이뤄 김문수 지지율 반등 시킬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