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산불 피해목 자원화…"2차 피해 막고 지역경제 살린다"

산림청, 1,983㏊ 위험목 제거 본격화…건축재 등 고부가가치 활용 추진
생활권 주변 고사목 제거로 국민 안전 확보…자원 선순환 통한 수익 창출도 병행

3월 22일 경북 의성군 안평면과 안계면 야산에서 발생한 산불이 강한 바람을 타고 확산하면서 안동·영덕·청송·영양까지 피해를 냈다. 사진은 안동의 산불 피해 지역 모습. 2025.5.19. 산림청 제공
3월 22일 경북 의성군 안평면과 안계면 야산에서 발생한 산불이 강한 바람을 타고 확산하면서 안동·영덕·청송·영양까지 피해를 냈다. 사진은 안동의 산불 피해 지역 모습. 2025.5.19. 산림청 제공

산림당국이 산불 피해 지역의 2차 피해 예방과 국민 안전 확보를 위해 '산불피해지 위험목 제거사업'을 추진한다. 피해목을 자원화해 산주 수익을 창출하고 지역경제 회복을 뒷받침한다는 방침이다.

산림청은 19일 "산불피해지의 신속한 복구와 국민 생명·재산 보호를 위해 위험목 제거와 피해목 유통 지원을 병행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산불로 인해 고사하거나 구조적 불안정성이 커진 피해목이 주택·도로 등 생활권 주변에 쓰러지며 발생할 수 있는 2차 피해를 예방하려는 조치다.

산림청은 지난달 시군별 기초조사와 중앙합동조사반의 정밀 분석을 거쳐 제거 대상 면적 1천983㏊를 확정했다. 현재 산주 동의를 기반으로 설계와 시공을 빠르게 진행하고 있다.

이와 함께 산불 이후 추가로 발생한 고사목 등 위험성이 높은 지역도 추가 조사를 실시해 제거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피해목 자원 활용도 강화한다. 산림청은 품질 등급별로 피해목을 정밀 조사하고, 생산자와 수요처를 사전 연계하는 방식으로 유통을 활성화한다는 전략이다. 건축자재 등 고부가가치 용도로의 활용을 최우선으로 검토하며, 점차 연료용 목재로도 활용처를 넓힐 계획이다.

박은식 산림청 산림산업정책국장은 "국민 안전 확보와 함께 피해목의 적극적 활용으로 지역 조기 회복에 기여하겠다"며 "산불피해목을 우선적으로 건축용재 등 고부가가치 제품화하고, 단계적으로 연료용까지 활용될 수 있도록 산업계와 협력해 나가겠다"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