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를 재정경제부와 기획예산처로 분리하는 데 앞으로 5년간 470억원이 넘는 예산이 추가로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인건비가 전체 비용의 80%를 차지해 조직 개편이 재정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20일 국회의안정보시스템에 따르면 국회예산정책처는 오기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달 대표 발의한 정부조직법 개정안과 관련해 총 476억5천300만원의 추가 재정 소요가 발생할 것으로 추계했다. 이는 개편안이 시행될 경우인 2026년부터 2030년까지 5년간 필요한 총액으로, 연평균 약 95억3천만원 수준이다.
오 의원 안은 기재부의 예산 기능을 국무총리 소속 기획예산처로 떼어내고, 기존 기재부는 재정경제부로 명칭을 변경해 경제 정책을 전담하게 하는 것이 골자다.
예정처 추계에 따르면 전체 비용 중 인건비가 379억8천900만원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신설되는 기획예산처에 장관급 1명과 차관급 1명, 비서실과 행정지원 인력을 포함해 총 87명의 인력이 증원된다고 가정한 결과다. 이들의 보수는 직급별 기준 보수와 수당을 반영해 산정됐다.
나머지 예산은 기본경비 92억3천만원, PC·사무집기 등 자산취득비 4억3천만원으로 추정됐다.
예정처는 "추계 결과는 증원 인원 등 가정을 바탕으로 유사 사례를 준용해 추계한 것"이라며 "향후 실제 증원 인원 등에 따라 전체적인 재정 소요액은 추계한 금액과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같은 당 허성무 의원이 앞서 발의한 유사 개정안(기획예산부 신설안) 역시 같은 방식으로 추계한 결과 5년간 482억100만원이 들 것으로 분석됐다.
민주당은 최근 기재부 권한 분산을 위한 조직 개편안을 잇따라 발의하고 관련 토론회를 여는 등 '기재부 분리론'에 불을 붙이고 있다. 이재명 민주당 대선 후보도 지난달 27일 기자들과 만나 "기재부가 정부 부처의 왕 노릇을 하고 있다는 지적이 상당히 있다"며 개편 필요성을 언급했다.
다만 민주당은 대선 10대 공약에 정부 조직 관련 구체적인 내용을 담지는 않았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방탄 유리막' 안에서 유세…대선 후보 최초
'TK 지지율' 김문수·이준석 연일 상승세…이재명은?
국힘 의원들 '뒷짐', 이미 끝난 대선?…"득표율 공천 반영 필요" 지적도
전한길 "은퇴 아닌 사실상 해고…'좌파 카르텔'로 슈퍼챗도 막혀"
[사설] 헌재 '재판소원제' 찬성, 파렴치한 위헌적 발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