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될 경우 '정치보복'에 나설 것이라는 응답이 절반을 넘었다. 투표할 후보를 아직 정하지 않은 '유동층' 10명 중 6명이 정치보복을 예상했다.
22일 한국일보 의뢰로 한국리서치가 지난 12일부터 13일까지 웹조사(휴대전화 문자와 이메일을 통해 url 발송)를 실시해 공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재명 후보 당선시 정치보복을 예상한다'는 응답은 53%로 나타났다. '정치보복을 하지 않을 것'이라는 답변은 29%, '모르겠다'는 18%에 머물렀다.
이 후보 지지를 철회하지 않겠다는 '고정 지지층'을 제외한 모든 투표층이 이 후보의 정치보복 가능성을 높게 봤다.
이 후보 고정 지지층은 정치보복과 관련, '하지 않을 것'(64%)이라는 답변이 '할 것'(20%)이라는 응답을 압도했다.
반면 유동층의 61%, 비투표층의 57%는 정치보복을 우려했다. 심지어 이 후보 유동 지지층에서도 '보복을 할 것'이라는 응답이 41%, '보복하지 않을 것'(33%)을 앞섰다.
특히 보수층에서는 81%가 이 후보 당선 후 정치보복을 전망했다. 그 수치가 국민의힘 지지층에서는 91%, 김문수 후보 고정 지지층에선 95%에 달했다.
이 후보가 당선될 경우 '삼권분립이 위협받고 민주주의가 훼손될 수 있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공감한다'는 응답이 44%로, '공감하지 않는다(39%)'보다 오차범위 밖에서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후보를 지지하는 투표층에서는 67%가 공감하지 않는다고 답했지만, 김 후보나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를 지지하는 투표층은 각각 79%, 68%가 공감한다고 밝혔다.
'중도 성향' 투표층 사이에선 삼권분립 위협 우려에 대해 공감한다는 응답이 높았다. 유동층은 42%가 공감, 25%가 비공감으로 나타났고 비투표층은 47%가 공감, 21%가 비공감이라고 답했다.
이 후보 대선 캠프에 보수 출신 인사들이 참여하는 것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평가가 더 많았다. '바람직하다' 41%, '바람직하지 않다' 33%, '모르겠다' 26%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의 응답률은 31.5%다. 95% 신뢰수준에서 오차범위는 ±1.8%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댓글 많은 뉴스
정세균, 이재명 재판 문제 두고 "헌법 84조는 대통령 직무 전념 취지, 국민들 '李=형사피고인' 알고도 선택"
'불법 정치자금 논란' 김민석 "사건 담당 검사, 증인으로 불러도 좋다"
[앤서니 헤가티의 범죄 심리-인사이드 아웃] 대구 청년들을 파킨슨병에서 구할 '코카인'?
李대통령, 대북전단 살포 예방·사후처벌 대책 지시
김민석, 불법자금 제공자에 4천만원 채무 의혹…"해명 준비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