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 대선 사전투표를 하루 앞둔 28일부터 새로운 여론조사 결과 공표 또는 인용 보도가 금지되는 6일간의 '깜깜이 선거 기간'이 시작된다.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는 대선 6일 전부터 당일 오후 8시까지 선거에 관해 정당 지지도나 당선인을 예상하는 여론조사 경위·결과를 공표하거나 인용해 보도할 수 없다고 27일 밝혔다.
다만 27일 밤 12시까지 조사된 여론조사의 경우, 조사 기간을 명시해 결과를 공표·보도할 수 있다. 그전에 공표된 조사 결과를 인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선관위는 "선거일이 임박해 발표되는 여론조사 결과가 선거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불공정하거나 부정확한 여론조사가 공표돼 선거 공정성을 해치는 경우 이를 반박·시정하기 어려운 점을 고려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선관위가 밝힌 위반 사례로는 선거일 전 6일 이후 실시한 정당 또는 후보자 지지도 여론조사 결과를 공표·보도하는 행위, 선거일 전 6일 이전에 실시한 것임을 명시하지 않고 후보자나 정당 지지도 여론조사 결과를 공표·보도하는 행위가 있다.
예컨대 선거일 4일 전에 유세 현장에서 "최근 상대 후보가 지난 30∼31일 여론조사를 근거로 유권자들에게 메시지를 보내고 있는데 그때는 선거운동을 시작할 때다. 지금은 자체 여론조사 결과 및 분석을 통해 역전됐다"고 발언하는 것도 위반 행위다.
이날까지 선관위가 적발·조치한 제21대 대선 여론조사 관련 위반행위는 총 9건이다. 이 중 3건은 고발, 2건은 과태료 부과, 4건은 경고 등 조치가 취해졌다.
한편 여론조사 공표 금지 기간이 하루 앞으로 다가오면서 정치권은 대선일 전 마지막으로 공개되는 여론조사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아울러 이날 오후 8시엔 21대 대통령 선거 후보자 3차 TV 토론회가 예정돼 있다. 토론 주제는 정치 분야다. 6·3 대선 일주일을 남겨두고 진행되는 마지막 티브이 토론인 만큼 내란, 개헌, 선거제도, 외교·안보 정책에 더해 '김문수-이준석 단일화' 등 선거 현안을 두고 날 선 공방이 예상된다. 마지막 3차 토론은 남은 일주일 물밑 여론을 움직일 신호탄이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