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자원공사(K-water) 낙동강유역본부는 지난 17일 '낙동강 워터 심포지엄'을 열고 기후위기 대응과 수질 개선을 위한 디지털 기반 녹조 예측 및 저감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사내·외 전문가들이 참여해 총 4개의 주제발표와 참석자 질의응답을 통해 유역 수질관리의 방향성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이날 첫 번째 발표는 표종철 부산대학교 교수가 '원격탐사와 인공지능 기반 녹조예측 기술 및 응용'을 주제로 인공지능(AI) 기반 영상자료 분석과 위성자료 활용을 통한 녹조 조기예측 방안을 소개했다.
두 번째 발표는 안기홍 국립환경과학원 박사가 '디지털 기술 기반 녹조 예측'을 주제로 정밀 측정데이터를 활용한 수질 예측 고도화 방안과 정책적 연계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세 번째로는 정선아 K-water 연구원이 '수질모델링 기반 댐 운영개선을 통한 녹조저감 방안'을 발표하며, 댐 운영이 녹조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분석했다.
마지막으로 최정규 K-water 연구원은 '수량·수질 통합관측 데이터를 활용한 댐 녹조발생 원인 분석'을 주제로 수량·수질 자료 통합분석을 통한 녹조 원인 규명과 향후 활용 방향을 제시했다.
조영식 K-water 낙동강유역본부장은 "이번 심포지엄은 낙동강유역에서 심해지고 있는 녹조 문제에 대응하고자 첨단 기술을 활용한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뜻깊은 자리였다"며 "앞으로도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물환경 조성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성남도시개발공사 조례 청탁' 김만배, 대법서 무죄 확정
전한길 "尹지지 후보 없으면 내가 당대표 출마"…입당후 논란 계속
특검 압수수색에 권성동 "야당 탄압"…野 "국회의장 메시지 내라"
'전한길 입당' 지적에 신동욱 "민주당도 김어준과 얘기, 친북도 품어"
李 대통령 굳건한 지지율 이유 1위는 '경제·민생'…국힘은 19% 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