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국가 주권 걸린 '소버린 AI' 힘들어도 결국 가야할 길

'AI 3대 강국' 이재명 정부 소버린 AI 전략에 주목

하정우 대통령실 AI미래기획수석이 지난달 25일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8회 전자정부의 날 행사에서 축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하정우 대통령실 AI미래기획수석이 지난달 25일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8회 전자정부의 날 행사에서 축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새 정부가 인공지능(AI) 3대 강국 도약을 목표로 100조원 규모의 투자를 공언하면서 '소버린 AI' 실현 여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AI 대전환'을 저성장 국면을 타개할 핵심 전략으로 설정했다. 주무부처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범주를 뛰어넘어 전 부처 차원의 총력 지원을 펼칠 것으로 전망된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비롯해 LG AI연구원장을 지낸 배경훈 과기부 장관 후보자, 네이버클라우드 AI이노베이션 센터장을 역임한 하정우 대통령실 AI미래기획수석 등 AI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인사들이 요직을 차지하면서 AI 정책을 주도한다.

구윤철 후보자의 경우 AI 서적을 저술하는 등 AI 주권 확보를 주창해왔다. 그는 "국민이 AI를 한글처럼 폭넓게 활용하도록 하는 게 출발점이어야 한다"면서 "한자처럼 어려운 AI가 아니라 국민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한글과 같은 AI'가 되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AI가 단순한 도구를 넘어 산업 데이터와 국가 안보, 공공서비스 등 국민의 삶의 질과 직결되는 분야로 범위를 확대하면서 소버린 AI의 중요성이 부각되기 시작했다. 해외 빅테크가 시장을 독과점하고 이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질 경우 기술 종속으로 인한 리스크가 높아진다. 소수 기업의 데이터 통제는 치명적인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어 이를 회피하기 위한 전략이 요구된다는 주장이다.

하정우 수석은 소버린 AI 개발의 필요성을 언급한 바 있고 '한국형 AI모델'을 민간 협력방식으로 구축할 수 있다는 구상도 제시했다. 기술 국산화에 머물지 않고 AI 산업 전반의 생태계에서 주권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술력을 따라잡는 데 만족하지 않고 국가 수요에 최적화된 AI 인프라를 구축해 독자적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김태훈 서강대 교수는 "기술 발전 속도가 갈수록 가팔라지고 있다. 빅테크 기업에 대한 지나친 의존도는 언제가 치명적인 독이 될 수 있다. 주권을 확보하는 차원에서 소버린 AI는 '힘들어도 가야 할 길'이다"며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지만 독자적인 AI모델을 구현해야 한다는 데 공감대가 있는 만큼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소버린 AI= 개별 국가 차원에서 개발하는 인공지능(AI). 미국 빅테크가 글로벌 시장을 겨냥해 내놓는 AI 모델과 대비되는 개념이다. 한국 기업이 한국어로 된 데이터를 학습시켜 개발하며 고유의 문화·사회·가치관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 더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보안이 중요한 국방·의료 등 공공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