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은 10일 "단절된 남북관계 복원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며 "남북의 평화·공존이 우리 안보를 위한 가장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선택지"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대통령실에서 취임 후 첫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체회의를 주재하면서 이같이 언급했다고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이 전했다.
이 대통령은 또 "안보가 흔들리면 경제도 무너지고 우리의 일상도 안전할 수 없다"며 "국민의 삶을 안전하게 지켜내도록 지혜를 모아달라"고 당부했다.
특히 이 대통령은 "국가안보는 언제나 사후 대응보다는 사전 예방이 중요하다"며 "요동치는 국제 질서의 변화는 물론 국내 정치 상황과 한반도 특수성을 반영한 북한 변수까지 종합적으로 살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관계부처가 모두 한 마음으로 국익을 최우선으로 하면서 평화와 실용, 국민 안전에 매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어 강 대변인은 대북관계 개선책과 관련해 "(회의에서) 남북 간에 끊어진 여러 연결망과 대화망이 어떤 방식으로 복구가 가능한가에 대한 얘기들이 있었다"고 전했다.
그는 "접경 지역 국민 삶의 환경이 더 나아지고 얼마 전 표류해 남쪽으로 온 북한 주민들이 별 문제 없이 돌아가는 등 조금 더 평화롭고 안전해졌다는 체감을 전달해드리기 위해 정부는 애를 쓸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회의에선 한미 통상 협상 등 현안에 대한 논의도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강 대변인은 회의에서 해당 논의가 있었는지에 대한 질문에 "외교·안보와 관련, 한미동맹 점검과 점검 이후 확인할 내용은 상례적으로 이뤄진 NSC 회의에서 다뤄질 내용만큼 다뤄졌다"며 "국익이 가장 최우선으로 되는 방향안에서 다양한 논의들이 이뤄졌다"고 답했다.
한미 통상 협상 관련 패키지딜 논의와 맞물려 나오는 전시작전통제권 환수 문제도 논의됐는지 여부에 대해선 "변화하는 국제 정세 속에서 국익을 최우선으로 하는 것이 어떤 것인지에 대한 다양한 논의는 오갔다"고 언급했다.
이날 회의는 오후 4시 40분부터 2시간 10분가량 진행됐다. 올해 하반기에 예상되는 주요 안보 현안을 미리 살펴보고 대응 방안을 논의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고 강 대변인은 설명했다.
회의에는 김민석 국무총리, 김진아 외교부 2차관, 김남중 통일부 차관, 이두희 국방부 장관 대행, 김민재 행정안전부 장관 대행, 이동수 국가정보원 1차장이 참석했다.
대통령실에서는 위성락 국가안보실장과 강훈식 비서실장, 김현종 안보실 1차장, 임웅순 안보실 2차장, 오현주 안보실 3차장 등이 자리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진숙·강선우 감싼 민주당 원내수석…"전혀 문제 없다"
李대통령, 이진숙 국무회의 제외 결정…"공무원 중립의무 위반"
[사설] 민주당 '내란특별법' 발의, 이 대통령의 '협치'는 빈말이었나
[홍석준 칼럼] 우물안 개구리가 나라를 흔든다
첫 회의 연 국민의힘 혁신위, "탄핵 깊이 반성, 사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