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은 '공공기관 2차 이전'과 관련해 대구경북(TK) 지역 경제를 견인할 수 있는 핵심 공공기관을 선별하는 한편 타 지자체와 차별화된 유치 활동을 펼쳐야 한다고 제언했다.
박양호 대구정책연구원장은 20일 매일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대구는 국가 국토공간의 전략적 요충지로, 달빛철도 건설에 따라 영호남의 중심지로 자리 잡게 된다"며 "지역 혁신을 위해선 '플러스 알파(+α)'가 필요한데, 공공기관 2차 이전이 그 역할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박 원장은 "ABB(인공지능·빅데이터·블록체인) 등 5대 미래 신산업과 연관된 공공기관이 들어와야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며 "특히 국책은행을 한 지역에 집중할 것이 아니라 글로벌 금융 도시를 분산 육성해 금융 시스템 안정화를 구축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박 원장은 2차 이전 공공기관의 도심 내 분산 배치 전략도 강조했다.
박 원장은 "이전 공공기관의 입지 문제가 상당히 중요하다. 인프라와 정주 여건이 충분히 구축된 도심으로 이전해야 한다"며 "별도의 추가 투자 없이 즉시 입주해 바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곳이어야 장기적으로도 효과적"이라고 밝혔다.
이어 "도심 배치가 이뤄져야 이전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관련 기관, 업체들이 계속 확장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진다"고 덧붙였다.
하혜수 경북대 행정학과 교수(전 한국지방행정연구원장)는 1차 이전 공공기관에 대한 지원 체계 구축은 물론 지역 경제 발전을 위한 기여 방안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 교수는 "대구 신서혁신도시와 경북 김천혁신도시 등 기존 혁신도시 공공기관들의 불편과 건의 사항을 우선적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며 "기존 공공기관에 대한 정책을 우선순위로 두고 조속한 시일 내에 해결해야 한다. 그리고 기여를 못 하고 있는 공공기관에 대해선 확실하게 개선을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하 교수는 "공공기관 이전의 목적인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2차 이전 공공기관을 선별하고, 기존 공공기관과의 연계도 강화해야 한다"며 "서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고, 이를 통해 지역 경제를 견인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대구시와 경북도가 정치 논리가 아닌 실질적인 경제 논리로 대응할 필요가 있고, 새 정부에 선제적으로 제안해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정부 관심 벗어난 '대구경북신공항'…TK 정치권 뭐하나
[단독] 허위 저격 논란 '백종원 저격수'… 과거 허위 방송으로 징계
우상호 "강선우 임명 강행은 與 지도부 의견…대통령 고민 많이 해"
송언석, '입당 논란' 전한길 언행 조사 지시
한동훈 "尹 지키자는 세력은 극우 맞아…국힘 이러다 진짜 망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