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집중호우 이유 있었네…."
한반도가 이달 쏟아진 집중호우로 큰 고통을 받고 있는 가운데 국내 연구진이 이 같은 현상은 앞으로도 계속 될 것으로 보인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포스텍(포항공대) 환경공학부 민승기 교수, 서가영 박사 연구팀이 기존 8월에 집중되던 우리나라 여름철 극한 폭우가 앞으로는 7월로 옮겨질 것이라는 전망을 최근 'npj 기후와 대기과학'에 게재했다.
특히 이번처럼 시간당 30mm 이상 쏟아지는 극한 폭우 7월 발생빈도는 예년보다 최대 3.7배 증가할 것으로 조사돼 여름철 재난 대응 계획의 전면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게 연구팀의 조언이다.
연구팀은 극한 폭우가 언제, 얼마나 자주 발생하는지 여부를 정확히 예측하기 위해 보다 촘촘한 초고해상도(2.5km해상도) 모델을 활용했다.
우선 두 가지 온실가스 배출 시나리오에 따른 시간당 극한 강수 발생빈도 변화를 현재(2001~2005)와 미래(2091~2095)로 나눠 월별 비교했다.
하나는 전 세계가 적극적으로 탄소 배출을 줄이는 '저배출 시나리오'고, 또 다른 하나는 현재 수준으로 탄소 배출이 늘어나는 '고배출 시나리오'다.
그 결과 두 시나리오 모두에서 시간당 30mm 이상 내리는 극한 폭우의 발생 시기가 8월에서 7월로 한 달 앞당겨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7월 극한 폭우 빈도의 경우 저배출 시나리오에서는 현재보다 약 2배, 고배출 시나리오에서는 약 3.7배 늘었다. 각 국에서 공을 들이고 있는 온실배출 가스를 줄이는 활동이 기후변화를 늦추는데 도움되고 있다는 사실도 이번 결과에서 재확인됐다.
고배출 시나리오 아래에서 우리나라는 북쪽 저기압과 남쪽 고기압 사이의 정체된 전선으로 인해 폭우가 장시간 머무는 기상패턴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러한 변화가 북태평양 고기압과 중위도 기압골이 온난화에 따라 더 강하게 발달하면서 발생하는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지구 온난화로 인해 여름철 우리나라에 수증기를 공급하는 기압계의 특성 자체가 달라지고 있다는 의미다.
포스텍 민승기 교수는 "이번 연구는 극한 폭우가 여름철 중 어느 달에 집중될지를 고해상도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폭우가 앞당겨질 가능성에 대비해 재난 대응 계획을 월별로 세밀하게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정부 관심 벗어난 '대구경북신공항'…TK 정치권 뭐하나
[단독] 허위 저격 논란 '백종원 저격수'… 과거 허위 방송으로 징계
한동훈 "尹 지키자는 세력은 극우 맞아…국힘 이러다 진짜 망해"
우상호 "강선우 임명 강행은 與 지도부 의견…대통령 고민 많이 해"
송언석, '입당 논란' 전한길 언행 조사 지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