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조선 업계가 상반기 미국의 대중국 제재로 반사이익을 보면서 점유율 20%대를 회복했다.
29일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가 발간한 '해운·조선업 2025년 상반기 동향 및 하반기 전망' 등에 따르면 지난 1∼6월 한국의 수주점유율은 25.1%(표준선 환산톤수 기준)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17.2%) 대비 약 8%포인트(p) 상승한 수치로, 점유율 1위 중국과의 격차는 51.0%p에서 26.7%p로 좁혀졌다. 지난해 한국의 수주 점유율은 연간 기준 15.0%로 8년 만에 10%대를 기록했었는데 올해 반등의 모멘텀을 찾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 같은 점유율 반등은 미국의 대중국 제재로 컨테이너선 건조 수요가 중국에서 한국으로 이동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미국무역대표부(USTR)가 중국 해운사, 중국산 선박을 운영하는 해운사 등에 미국 입항 수수료를 부과하기로 결정하면서 한국이 반사이익을 누렸다는 것이다.
실제 상반기 국내 수주량(487만CGT)의 53.3%가 컨테이너선으로 집계됐다. 반면 지난해 상반기 수주한 중대형 컨테이너선은 2척에 불과했다.
다만 글로벌 불확실성 여파로 업황이 부진한 만큼 안심하기 이른 상황이다.
올해 1∼6월 글로벌 발주량은 1천939만CGT로 작년보다 54.5% 감소했다. 특히 국내 주력 선종인 액화천연가스(LNG)선 발주량은 82.9% 감소한 105만CGT에 그쳤다. 점유율이 상승한 한국도 수주량 자체는 487만CGT로 작년 대비 33.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주액은 31.8% 감소한 161억4천만달러에 그쳤다.
한국수출입은행 관계자는 "2021년 이후 처음으로 상반기 발주량이 건조량에 미치지 못했다"면서 "미국 관세 문제 등의 통상 마찰이 세계 경제와 교역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고 신조선 발주에도 영향을 미쳤다"고 짚었다.
이어 "하반기에도 선주들이 적극 투자보다는 관망하는 경향이 더 강할 것"이라며 "올해 총 세계 발주량은 전년 대비 약 46% 감소한 4천만CGT 내외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일각에서는 국내 조선업계가 대중 제재 반사이익을 토대로 근본적인 경쟁력 강화에 나서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점유율 회복은 미중간 대립 구도에서 얻은 어부지리에 불과하다"면서 "약간의 시간을 번 정도의 기회로 여기고 중국과의 품질 격차를 벌리는 노력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국내 조선사들의 재무적 여력이 아직 크지 않고 조선산업의 국가 안보 차원 가치가 부각되는 점 등을 고려하면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가수 영탁, FC바르셀로나 대구경기 시축+축하공연 확정…대구스타디움 뒤흔든다
尹 접견한 신평 "1.7평 독방, 생지옥…정치보복에 美 개입해달라"
李대통령, 8·15 광화문서 '국민 임명식' 진행…尹 부부 제외 전직 대통령들 초대
PK 간 李대통령 "가덕도 걱정 마시라"…TK신공항 '침묵' 서운함 쏟아져
'휴가 반려' 이진숙 "대의에 목숨 걸어본 자만 돌 던져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