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2분기 무역항 물동량 2.2% 감소…미국향 수출 물동량 감소

전국 무역항 처리 화물…3억8천776만톤
미국 수출 물동량 8.4% 감소…수출 물동량도 감소

29일 해양수산부는 2분기 전국 무역항에서 처리한 화물이 모두 3억8천776만톤(t)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2% 줄었다고 밝혔다. 24일 경기도 평택항 부근에 수출용 차들이 세워져 있다. 연합뉴스
29일 해양수산부는 2분기 전국 무역항에서 처리한 화물이 모두 3억8천776만톤(t)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2% 줄었다고 밝혔다. 24일 경기도 평택항 부근에 수출용 차들이 세워져 있다. 연합뉴스

글로벌 통상환경 불확실성이 지속하면서 올해 2분기(4∼6월) 전국 무역항에서 처리한 물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을 향하는 수출 물동량이 감소했는데,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부과 여파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29일 해양수산부는 2분기 전국 무역항에서 처리한 화물이 모두 3억8천776만톤(t)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2% 줄었다고 밝혔다. 2분기 수출입 물동량은 1.7% 감소한 3억3천136만t이고 연안 물동량은 5.1% 줄어든 5천640만t이다.

항만별로 보면 부산항과 울산항은 각각 0.4%, 2.9% 증가했으나 광양항, 인천항, 평택·당진항은 각각 1.3%, 0.8%, 3.5% 감소했다.

2분기 전국 항만에서 처리한 컨테이너 물동량은 826만TEU(20피트 길이 컨테이너)로 1.9% 증가했다. 이중 수출입 물동량은 453만TEU로 0.6% 감소했다.

미국으로 수출 물동량이 8.4% 줄면서 전체 수출 물동량은 1.0% 감소한 226만TEU를 기록했다. 중국(-1.3%)과 베트남(-4.3%) 등의 수입 물동량이 축소돼 전체 수입 물동량도 0.2% 줄어든 227만7천TEU로 집계됐다.

국내를 거쳐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 환적 물동량은 5.3% 증가한 370만TEU로 집계됐다. 미국(8.2%), 중국(4.7%) 등의 환적 물동량이 늘어 전체 물동량 증가를 견인했다.

품목별로 보면 유류는 원유, 석유 정제품, 석유 가스 물동량 증가로 1.3% 증가한 1억1천506만t을 기록했다. 자동차(부품 포함)는 3.0% 증가한 2천608만t이었다. 반면 광석과 유연탄은 각각 3.7%, 17.6% 감소한 3천20만t, 2천132만t이었다.

전재수 해수부 장관은 "민·관·연 합동의 해운물류 분야 통상 현안 비상대응반 운영을 통해 항만 컨테이너 물동량과 해상운임 등 시장 상황을 상시 모니터링하고 있다"며 "관계기관과 소통을 지속하겠다"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