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포스코 등 철강업계들, 관세율 인하 무역합의에 철강 빠져 '아쉬움'

가격·품질경쟁력 확보가 앞으로 중요한 관건

포스코 포항제철소에서 생산한 선재 제품이 출하를 기다리고 있다. 매일신문DB
포스코 포항제철소에서 생산한 선재 제품이 출하를 기다리고 있다. 매일신문DB

포스코와 현대제철 등 우리나라 철강업계에서는 상호관세율을 인하(25%→15%)하는 무역합의에 대해 다소 아쉽다는 입장이다.

철강이 포함되지 않아 아쉽다는 전반적인 분위기 속에, 전 세계가 동일한 관세를 적용받는 만큼 경쟁력을 가진 국내 철강업계가 다소 유리한 상황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낙관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31일 정부는 미국과의 협상에서 상호관세와 자동차(부품 포함) 관세를 15%로 낮췄다고 발표했다. 미국은 오는 8월 1일부터 한국에 25% 상호관세를 부과할 방침이었는데, 이를 15%로 낮추고 3천500억 달러 규모의 펀드를 미국에 투자하기로 했다.

하지만 이번 관세 협상에서 철강과 알루미늄, 구리는 빠졌다. 이 품목에 대해선 기존 관세가 유지된다는 의미인데, 현재 한국산 철강·알루미늄·구리를 미국으로 수출할 때 품목관세는 50%다.

미국이 제조업의 상징인 철강 가동률을 높이기 위해 수입산에 고율 관세를 그대로 유지하는 정책을 고수한 것인데, 관세 영향이 본격화되는 올 하반기가 되면 국내 철강업계에도 타격이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철강업계에서는 고율의 관세가 지속될 경우 생산·판매 전략 수정만으로 미국 시장 대응이 어렵다고 보고 있다. 실제 지난해 기준 국내 철강업계의 대미 수출은 전체 수출액의 13%에 달한다.

이에 따른 실적 악화도 우려된다. 이미 지난 2월 부과된 25% 관세 영향은 수출지표에서 바로 확인되고 있다. 지난달 국내 철강 수출액은 지난해 동기보다 8% 감소한 24억 달러에 그쳤다. 3분기에는 50% 관세의 직접 영향권에 들 것으로 수출 시장은 더욱 어려울 전망이다.

또 예상과 달리 대미수출량이 늘더라도 관세영향이 지속되면 현지 판매가 인하를 피하기 어렵기 때문에 장기적으로는 양국 철강관세 협상을 지속해야 한다는 게 철강업계의 입장이다.

철강업계는 현재의 어려움을 탄소저감 강판 등 고부가가치 제품 판매 확대, 현지화 전략 등을 통해 극복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포스코는 현대제철과 함께 미국 루이지애나주에 58억 달러 규모의 전기로 제철소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2029년 상업가동이 시작되면 상황이 호전 될 수 있다는

한 철강업계 관계자는 "관세율을 낮추는데 실패한 현실에서 살아남는 방법은 고부가가치 제품 판매 확대, 현지화 전략 외엔 없다"며 "미국이 다른 나라에도 철강에 대해선 일괄 50%관세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 가격 및 품질경쟁력 확보가 매우 중요한 문제가 됐다"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