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캄차카 지진 규모 8.8, 단층 이동 적어 쓰나미 잠잠

캄차카 반도 인근에만 쓰나미 파고 4.5m
동일본 지진 규모 9.1땐 쓰나미 최대 30m

캄차카 반도 인근에서 발생한 규모 8.8의 강진. 연합뉴스
캄차카 반도 인근에서 발생한 규모 8.8의 강진. 연합뉴스

"큰 지진 후에 쓰나미가 잠잠하다니…."

30일(현지시간) 러시아 극동지역 캄차카반도에서 규모 8.8의 강진이 발생했지만, 쓰나미 발생 및 피해 소식마저 잠잠해 그 이유에 대해 궁금해하고 있다. 워싱턴포스트(WP)는 이날 해저 산사태가 없었거나 단층 이동이 적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국제측지 및 지구물리연맹(IUGG) 국제 쓰나미 위원회 부위원장인 알렉산더 라비노비치가 초기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이번 캄차카 지진 당시 근처 쓰나미 높이는 4.5m 정도였다. 일본 주변의 쓰나미 파고는 0.3∼0.9m, 하와이 제도 주변에는 1.5m∼1.8m로 발생했다.

과거 비슷한 규모의 지진과 비춰봐도, 이례적으로 쓰나미 피해가 적은 편이다. 2011년 동일본에서 발생한 규모 9.1의 지진은 지역적으로는 최대 30m에 달하는 쓰나미가 뒤따르기도 했다. 1952년 캄차카 반도에서 생긴 규모 9.0 지진 때는 대형 쓰나마가 하와이를 강타하기도 했다.

지진 규모가 0.1 커지면 에너지는 1.4배나 커지기 때문에 이번 지진을 규모 9.0을 넘겼던 과거 지진 사례와 단순 비교하기는 어렵다. 러시아 쓰나미 전문가 비아체슬라프 구시아코프는 이번 쓰나미 여파가 적었던 것에 의문을 표하며 대규모 해저 산사태가 부재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 모델링 자료에 따르면 이번 지진으로 약 480㎞에 달하는 단층선을 따라 지반이 6∼9m 정도 이동한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때는 비슷한 길이의 단층선을 따라 지반이 최대 45m 이동했고, 이 때문에 '괴물 쓰나미'가 발생했다.

미국 오리건 대학교 캐스케이디아 지역 지진 과학 센터 디에로 멜가 소장은 "이런 세부적 요소들이 쓰나미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다. 다만, 멜가 소장은 이번 지진으로 인한 쓰나미가 치명적이지 않다고 말하기는 아직 이르다고 지적했다.

사람들이 각종 소셜미디어(SNS)를 통한 재난 생중계에 익숙해졌지만, 인구 밀도가 낮은 캄차카반도 특성상 쓰나미 높이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멜가 소장은 정확한 이번 지진으로 인한 쓰나미 분석은 위성 자료 검토와 현장 조사 등이 진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