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6월 '車·반도체 호조' 생산·소비 반등…美관세에 투자는 감소

산업생산 1.2%↑…소비심리 개선에 소매판매 0.5%↑
설비투자 3.7%↓ 7년 만에 최장 감소…건설 회복 판단은 아직
정부 "美관세 타결에 불확실성 해소…소비 등 경기 활성화 총력"

경기도 평택항에 세워져 있는 수출용 자동차. 연합뉴스
경기도 평택항에 세워져 있는 수출용 자동차. 연합뉴스

6월 전산업 생산이 자동차·반도체 등의 호조로 석 달 만에 플러스로 돌아섰다. 소비도 의복·화장품에서 판매가 늘어 넉 달 만에 증가했다. 설비투자는 미국 관세 부과 불확실성에 넉 달째 뒷걸음쳤다. 이는 7년 만에 가장 긴 기간이다.

정부는 소비심리 회복과 미국 관세 협상 타결에 따른 불확실성 해소가 경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했다.

통계청이 31일 발표한 '6월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전(全)산업 생산지수(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는 113.8(2020년=100)로 전달보다 1.2% 상승했다.

전산업 생산은 지난 4월 -0.7%, 5월 -1.1%로 두 달 연속 감소하다가 지난달 플러스로 전환했다.

제조업은 반도체(6.6%)·자동차(4.2%)·금속가공(4.7%) 등에서 전월보다 생산 증가 폭이 컸다.

다만 전자부품은 전월보다 18.9% 줄며 2008년 12월(-30.9%) 이후 16년 6개월 만에 최대 폭 감소했다.

제조업 출하는 전자부품·의약품에서 줄었으나 반도체·석유정제 등에서 늘어 전월보다 1.8% 증가했다.

자동차는 내수출하 4.1%, 수출출하 1.7% 각각 전월보다 늘어 호조를 보였다.

6월 반도체 생산지수는 6.6% 상승했다. 지수 191.4(2000년=100)는 1980년 1월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은 수준이던 지난 3월보다 높아졌다.

내수 지표도 모처럼 개선됐다.

서비스 소비를 보여주는 서비스업 생산은 0.5% 늘었다. 금융·보험, 전문·과학·기술 등에서 늘어난 영향이다.

재화 소비를 의미하는 소매판매액지수는 전월보다 0.5% 늘었다.

다만 설비투자는 운송장비에서 줄어 전월보다 3.7% 감소하며 지난 3월(-0.5%) 이후 넉 달째 마이너스 행진을 이어갔다. 설비투자가 넉 달째 감소한 것은 2018년 2∼6월 이후 7년 만에 처음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